임재균 연구원은 "연준의 긴축 가능성으로 BEI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실질 금리의 상승이 필요하며, 실질 금리의 상승은 고용의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지표가 2개월 연속으로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지만 향후 회복세는 빨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임 연구원은 "4월 구인건수가 930만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인력에 대한 수요는 높고 인력 공급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추가실업수당 지급이 고용지표 부진의 원인으로 거론되는 가운데 일부 주들은 6월 12일부터 순차적으로 조기종료되며 9월 9일이면 모두 종료된다. 추가실업수당 종료를 앞두고 구직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했다.
재정적자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우려요인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이 4조 달러 규모의 재정지출과 동시에 증세안을 발표하면서 시장은 안도했다. 재정적자가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 때문이다.
임 연구원은 다만 "공화당의 반대로 인해 증세안은 상당 부분 계획 수정이 불가피하다"면서 "법인세 인상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G7에서 글로벌 최저 법인세도 15%로 합의했다"고 지적했다.
기존 21%보다 낮아지면서 세수입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공화당과의 협상 과정에서 인프라 투자 규모도 축소되겠지만, 지출규모의 축소보다는 증세계획 변경으로 인한 세수입의 축소 규모가 더 클 것"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 대비 재정적자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美금리 하락 원인은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1.50%를 밑돌면서 고점을 기록한 5월 12일 (1.69%) 대비 20bp 이상 하락했다.
임 연구원은 "금리 하락을 이끄는 요인은 BEI"라며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10년물 BEI는 2.33%로 5월 12일 대비 23.7bp 하락했다"고 밝혔다.
유가 상승에도 소비자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유 가격은 횡보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제유가 선물시장에서 국제유가가 백워데이션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물가 상승도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평가했다. 5월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전년동월대비 4.7% 증가하며 핵심 소비자물가도 3.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시장에 상당 부분 선반영된 만큼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임 연구원은 "5월 소비자물가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할 경우 연준의 긴축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는 BEI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BEI는 하락하고 있지만, TIPS 금리는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2021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상향 조정되고 있지만, 기울기가 연초 대비 하락하면서 실질금리의 상승세를 견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자산배분 관점에서 최근 주식 및 원자재 가격이 박스권을 보이면서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연초 주식과 원자재가 강세를 보이면서 채권에서 자금이 이탈됐던 것과 상반된 현상이라는 것이다.
그는 "증세안으로 미 국채의 수급 부담이 완화되는 가운데 높아진 금리로 인해 수요는 증가했다"며 "미 국채 10년물의 응찰률은 2.58배를 기록하면서 지난 7월 이후 가장 견고한 수요를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