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수욱 연구원은 "최근 금리인상을 단행한 국가들의 결정 이면에는 인플레이션 외에 자국의 건전성 방어를 위한 목적이 포함돼 있기에 이들 국가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금리를 올린 브라질, 터키, 러시아 등은 펀더멘털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요인에 따른 부담으로 통화정책 운신의 폭이 적었던 나라라고 밝혔다.
황 연구원은 "COVID 불확실성이 잔존하는 상황에서 금리인상이 경기회복 지연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을 감안할 때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로 진입한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 사이에 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정상화 기조에 이미 진입한 브라질, 터키 이외에도 아르헨티나 등 일부 취약 신흥국들도 정책 여력의 한계로 정상화로의 정책전환을 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반면 앞선 국가와 달리 대외건전성(대외채무 안정국 및 경상흑자국)이 확보돼 있는 한국,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비교적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