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독신청
  • My스크랩
  • 지면신문
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브라질·터키·러시아의 예상웃돈 금리인상…그리고 선진국의 정책 미세조정

장태민

기사입력 : 2021-03-22 14:46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한국금융신문 장태민 기자] 최근 브라질을 비롯해 일부 신흥국들의 금리 인상이 가시화됐다.

신흥국 가운데 물가 급등이나 통화가치 하락을 우려하는 나라들의 금리인상 시점이나 인상폭을 예상을 웃도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선진국은 일단 정책 정상화나 테이퍼링에 대한 주변의 기대치는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 다만 정책 정상화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관점이 완전히 제어되지는 않는 분위기다.

■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일부 신흥국 금리인상...터키 중앙은행 총재 경질

지난 17일 브라질 중앙은행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2%에서 2.75%로 75bp 인상했다.

시장이 금리인상을 예상하고 있었으나 상당수 투자자들이 50bp 인상을 예상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인상폭은 기대를 상회하는 것이었다. 이번 금리인상은 지난 2015년 7월 이후 첫 인상이었다.

브라질의 올해 인플레이션 전망이 5% 수준까지 상승하면서 중앙은행이 나설 수 밖에 없었다. 아울러 브라질은 자국 통화인 헤알화 약세 우려 때문에 금리를 올려 놓을 필요가 있었다.

브라질의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비 5.20% 급등해 물가밴드 상단(5.25%)으로 올라왔다. 이는 올해 타겟인 3.75%를 크게 웃도는 것이었다. 동시에 헤알화 약세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나 헤알 약세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이 물가 전반을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점도 무시하긴 어려웠다.

지난해 8월 이후 역대 최저수준인 2%에 머물렀던 기준금리는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 브라질은 지난해 코로나 사태에 따라 금리를 역대 최저수준까지 내렸지만, 이젠 국내 정치의 불안 속에 재정건전성도 더 신경써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브라질이 17일 기준금리를 올린 뒤 18일엔 터키, 19일엔 러시아가 금리를 인상했다. 이 나라의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이나 자금 유출에 대한 우려 등으로 금리를 올렸으며, 전통적으로 대외환경 변화에 취약한 특징을 갖고 있다.

선진국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기 전 일단 먼저 금리를 올려둠으로써 미래에 대비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브라질의 금리인상 뒤 터키는 금리를 대폭 올렸다. 터키의 기준금리는 200bp 인상된 19.0%로 올라갔다.

시장의 예상보다 훨씬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린 것으로 금리인상 뒤 달러/리라는 7.3리라 수준을 향해 가파르게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터키에선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졋다. 철권 통치자인 에르도안 대통령이 중앙은행 총재를 해임해 버린 것이다. 나지 아발 총재는 작년 11월 7일 취임 후 4달 남짓만에 옷을 벗어야 했다.

대통령이 중앙은행 총재를 경질하자 리라화 가치가 15% 이상 폭락해 환율이 8.2리라 수준으로 급등하기도 했다. 터키는 지난 2019년 7월엔 중앙은행 총재가 금리인하를 거부하자 경질한 이력을 갖고 있다.

러시아 중앙은행(CBR)의 금리 인상은 뜻밖이었다. CBR은 시장의 동결 예상과 달리 기준금리를 25bp 올려 4.50%에 맞췄다. 러시아 물가상승률은 목표수준인 4%를 넘어서 5%대 후반으로 올라갔다.

재정건전성에 대한 의구심이 큰 신흥국들은 선진국의 통화정책 변화에 맞춰 더 빨리 움직여야 할 수 있다. 아시아에선 늘 선진국 정책변화에 휘둘리는 인도네시아의 금리인상이 멀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18일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금리인상 전망이 반영되면서 10년 국채금리가 7% 근처로 올라오고 있다.

루피화 가치 하락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내수가 상당히 부진해 금리동결 기조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 있지만, 루피아가 계속 흔들린다면 금리인상은 빨라질 수 있다.

지난해 3월 코로나 사태 이후 미국 연준의 제로금리 회귀와 대대적인 양적완화로 신흥국들도 통화정책 완화 룸을 확보한 바 있다. 하지만 지금은 글로벌 경기와 물가 상승 기대 속에 선진국 중앙은행들의 정책적 태도가 조금씩 바뀌면서 신흥국들의 상황도 바뀌었다.

■ 아시아존 선진국 일본, 호주에서 나타나는 정책변화와 변동성

지난주 일본은행이 장기 국채금리 밴드 상단을 올리자 국내를 비롯해 글로벌 금융시장이 긴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BOJ의 장기 국채금리 상단은 0.2%로 인식돼 왔지만, 이 레벨이 0.25%로 올라갔다.
다만 BOJ가 매파적으로만 나온 것도 아니었다. BOJ는 지정가 공개시장조작제도를 공식화하면서 시장금리 급등 시 특정 만기물 국채를 고정금리로 무제한 매입할 수 있게 됐다.

일본에선 저금리정책 장기화로 인해 시장기능이 저하되고 금융기관의 수익성도 악화돼 적지 않은 부작용이 쌓이고 있다. 다만 BOJ는 필요시 금리인하를 포함해 몸을 좀더 가볍게 놀릴 수 있도록 정책을 미세조정하고 있다.

일본이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BOJ가 수익률곡선을 관리하는 것 외에 별다른 수단이 없어 다시금 상상력을 끌어모은 것이란 평가도 받았다.

BOJ는 금융기관 대출 촉진을 위해 공급하는 각종자금의 잔액을 기준으로 일정 금리를 인센티브로 제공키로 했다.

ETF와 Reit 매입을 좀더 유연화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원칙적으로 연간 매입액(6조엔, 900억엔)을 없애고 연간 매입 한도액(12조엔, 1800억엔)만 설정해 필요에 맞게 매입한다는 것이다.

일본은행은 통화정책이 목표한 성과를 거둬왔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 물가목표 달성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자평하면서, 현재 정책을 유지하기 위해서 평상시엔 비용을 줄이고 필요한 시점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의도를 피력했다.

전병화 NH투자증권 연구원은 "BOJ의 가장 큰 정책 변화는 채권 매입시 적용되는 소위 ‘스텔스 테이퍼링’이 ETF와 J-REIT 영역으로 확대된다는 것"이라며 "BOJ는 목표에 따라 기계적으로 일정 규모의 ETF를 시장에서 매입해 왔는데 연간 매입 목표 삭제에 따라 평시 매입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리 변동범위의 상향, 단기정책금리에 연동된 대출촉진제도는 각각 채권시장의 기능 회복과 마이너스 금리 확대 정책이 실행될 경우 해당 정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제공 성격으로 판단했다.

전 연구원은 "BOJ의 정책 변경을 두고 ‘스텔스 테이퍼링’의 확대, 즉 긴축으로 보기 보다는 유동성 공급이 지속된다는 점에서 완화정책의 초장기화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면서 "BOJ는 현재의 정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번 정책 변경은 평상시 유동성 공급을 위기 국면으로 집중시키려는 의도로 봐야 한다"고 풀이했다.

국내시장이 장중 일본과 함께 관심있게 쳐다보는 호주 채권금리는 지난주 재차 1.8%대로 올라오더니 이날은 1.7%대 중반 수준으로 속락했다.

호주 금리는 대외 상황 등을 주시하면서 보면서 급등락을 거듭 중이다. 지난 2월 26일엔 15bp 넘게 뛰어 1.88%대로 올라섰으나 다음날엔 22bp 가까이 폭락하면서 1.66%대로 내려가기도 했다. 호주 금리는 일단 최근 2019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터치를 했다.

■ 계속 주목되는 미국의 정책변화..일단 주목 받는 SLR 관련 연준 스탠스

지난주 17일 미국 연준은 점도표 중앙값을 유지하면서 조기 정책 정상황에 대한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 노력했다. 섣불리 정책의 긴축전환을 기대하지 말 것을 주문헸다.

하지만 시장 일각이 기대하던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나 장기채 매입 확대와 같은 조치에 대한 시그널도 주지 않았다.

파월은 구두약속만으로 일단 이벤트를 넘겼다. 테이퍼링 기대감이 '시기 상조'라고 강조했으며, 선제적으로 행동하지도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시장은 계속 연준을 의심하면서 변화를 주시할 수 밖에 없다.

이후 연준은 주후반 시장의 관심사였던 SLR 완화조치를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연준 등 당국이 작년 3월부터 은행권에 적용했던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LR·supplementary leverage ratio) 완화 조치를 종료키로 한 것이다.

은행은 보유자산 3~5%의 자기자본을 확충해야 했으나 코로나 위기 이후 연준이 국채와 지급준비금을 익스포저에서 제외해주면서 자본금 확충없이 국채를 더 많이 사고 대출을 늘릴 수 있었다. 시장에선 이 조치의 연장 거부로 많으면 5천억 달러까지 매도가 나오는 것 아니냐고 우려하기도 했다.

미국채 금리는19일 연준의 이같은 대형은행 규제완화 연장 거부 소식에 상방 압력을 받으면서 1.75%선까지 뛰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연준이 규제완화를 연장하지 않는 대신 자체 수정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금리는 반락하면서 안정을 찾았다.

오는 4월 1일부터 대형은행들이 SLR 계산에 있어서 국채를 제외할 수 없게 되면서 향후 국채 물량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는 잠재해 있다. 하지만 연준이 보완 조치를 내놓겠다고 한 만큼 이를 확인해야 한다.

국제금융센터의 글로벌경제부는 "SLR 제도개선 방안은 B/S 정책, 국채시장, 레포시장 등을 종합 고려할 것으로 보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면서 "지난 19일의 제한적인 시장 반응에도 불구하고 금리 상승 및 시장 변동성 확대가 지속될 소지가 있다"고 풀이했다.

미국 은행들이 국채와 지준 비중이 크다면, 그 만큼 자본확대 부담이 늘어 이 자산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어떤 영향이 갈지 주목되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COVID 국면에서 늘릴 2천억달러 정도의 미국채 매도가능성이 거론되지만 현재 미국 정부가 연준에 보유하고 있는 TGA 유동성 활용으로 2분기부터 은행지준은 증가할 수 밖에 없다"면서 "국채시장은 반대로 단기조달 필요가 줄어 T-Bill 잔고는 줄어드는 반면 중장기채 중심의 발행부담이 늘어나게 된다"고 지적했다.

단기금리는 늘어나는 유동성과 국채공급부담으로 마이너스까지 하락할 수 있고 매월 2천억 달러 규모발행으로 중장기채 상승부담은 큰 상황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RRP 일한도를 늘리고 SLR을 연장하지 않아 단기유동성은 줄이고 이를 중장기 금리상승 부담을 덜어내는 쪽으로 활용할 가능성은 있다"고 진단했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연준 조치를 봐야겠지만 SLR 완화조치가 이달말로 종료됨에 따라 미국 은행들의 국채수요가 약화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현재 연준의 시장 안정에 대한 관점은 스무스한 금리 상승이지, 금리상승 자체를 제어할 의지는 없어 보인다"고 평가했다.

조만간 파월과 옐런의 의회 증언이 있는 만큼 이를 통해 미국 금융당국의 입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

자료: 국제금융센터

자료: 국제금융센터

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KT&G ‘Global Jr. Committee’, 조직문화 혁신 방안 제언
대내외에서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은 KT&G
국어문화원연합회, 578돌 한글날 맞이 '재미있는 우리말 가게 이름 찾기' 공모전 열어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