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조는 8일 소식지를 통해 윤 원장이 지난 5일 사전 연락도 없이 노조 사무실을 방문했다며 “(윤 원장이)자신도 몰랐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윤 원장은 노조 측에 국장 인사만 신경을 썼고 팀장 이하는 큰 관여를 하지 않았다. 윤 원장은 노조에 “(팀장 이하 인사에 대해)문제가 없다고 해서 그런 줄 알았다”면서 “김 팀장이 징계도 받았고 승진제한 기간도 지났는데 언제까지 승진을 시키지 말아야 하냐”고 말했다는 전언이다.
금감원 노조는 이번 인사에 대해 ▲채용비리 가담자에 대한 무리한 승진 ▲핵심부서 6년 연속 근무 ▲노골적인 라인 만들기 ▲2~3년 주기 순환배치 원칙 무시 등 수많은 반칙이 공정인사로 포장됐다고 지적했다.
또 노조는 지난 1월, 이미 채용비리 가담자 승진 문제에 대해 미리 경고를 했다며 채용비리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에 대한 구상권 미행사 문제도 임원에게 미리 언질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수석부원장은 인사시행 전 노조에 2번이나 “자신은 금감원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내부사정을 잘 모르니 김00 보에게 일임하겠다”고 했다며 김00 보는 전임자의 고과위주, 기계적인 인사문제를 지적하는 노조에 “한 번 믿어 달라. 합리적인 인사를 하겠다”고 자신감을 비쳤다고 했다.
이어 이번 인사가 김종민닫기

당시 노조가 승소하자 금감원 측은 바로 항소했고, 이를 비판한 소식지를 본 윤 원장이 보고자에게 “왜 항소를 했냐?”며 혼을 냈다는 것. 노조는 “원장이 피고인데 설마 항소사실을 보고하지 않았겠느냐”고 의구심을 드러냈다.
한편, 노조 측은 앞서 금감원이 채용비리로 인한 탈락자들이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으로 1억2000만원을 지급했음에도 불구하고 채용비리에 가담한 채모 씨와 김모 씨 등 2명을 부국장과 팀장으로 승진시킨 것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채용 비리 가담 직원들에게 구상권을 행사하지 않고 승진시킨 것은 잘못된 인사라고 노조 측은 비난했다.
권혁기 기자 khk020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