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연구원은 "2월에 춘절 자금수요가 발생하며 요구불 예금이 감소할 것이고, 그 이후에는 1급지 부동산 과열 억제의 영향을 받으면서 M1 증가율은 비교적 빠르게 둔화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한 달 만에 9%대에 진입한 M2 증가율이 우려스러울 수 있으나, 통화긴축의 전조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단기자금시장에서 긴축이라고 정의할 만한 움직임도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인민은행이 시중은행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창구인 MLF, SLF 금리가 변하지 않고 있으며, 최근 우려와 달리 SLF 잔액은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춘절을 앞두고 예년에 비해 단기자금시장 유동성 순공급 규모가 줄었지만, 시장의 교란 재현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체적으로 중국 통화정책 기조는 작년 상반기와 같은 이지 머니(Easy Money) 여건은 아니지만, 긴축 전환에 대한 우려도 이르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중국의 통화정책을 작년 상반기 COVID-19 대응의 정점과 비교한다면 타이트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당시는 M2, 총사회융자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있었고, 정책금리가 인하되던 시기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중국 총사회융자의 2차 미분값인 'Credit impulse의 증분 변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재는 완화기조 하에서 '완화의 정도가 조정되는 것'에 불과하다"며 "또한 신용규모 자체를 줄이기 보다는 신용할당에 적극적이라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분석했다.
예를 들면 부동산 시장으로의 자금유입을 억제하고, 중소기업이나 중장기 대출, 첨단산업 대출은 확대하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Credit impulse 증분이 0에 수렴해 경기중립적인 통화정책으로 이행하게 되는 시점은 올해 4분기로 예상했다. 이 무렵 단기자금시장이나 SLF를 대상으로 한 완만한 금리인상이 수반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 통화정책은 완화정도의 조정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판단된다"면서 "자금시장 금리인상 등 정상화 개시 시점은 올해 4Q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