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은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금융당국도 코로나19 충격으로 리스크가 부각된 개별 부문을 중심으로 규제 강화를 추진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그러나 "일부 유동성 관리 개선과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증권회사와 여전사는 금융시장 의존도가 높은 영업모델 특성상 다양한 요인의 유동성 충격 등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비은행 금융중개 활동이 크게 발달한 미국 등의 경우 그간의 규제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금번 충격시 MMF, 회사채 투자펀드의 대규모 환매, 마진콜 발생 등의 잠재리스크가 현재화되면서 관련 금융기관 뿐 아니라 금융시장 전반의 자금경색을 초래한 바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따라서 "증권회사, 여전사의 성장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잠재리스크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제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부문별 리스크관리에서 전체 자금조달운용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증권회사는 리스크가 부각된 부동산PF 및 파생결합증권은 물론, 최근 빠른 증가세를 보여온 해외투자를 포함하해 보다 엄격한 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있는 비상자금조달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또한 여전사는 사업다각화에 따른 자산·부채 만기 불일치 확대 등의 리스크에 대한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금융시장 충격에 대비한 자금조달계획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또 "금번 충격시 중앙은행과 금융당국의 대규모 시장개입이 불가피하였으나 이로 인한 금융기관의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