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는 23일 서울 종로구 S타워에서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KT 직원들이 하반기 출시될 KT 클라우드 AI/DX 플랫폼을 홍보하고 있다/사진=KT
이미지 확대보기KT는 23일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이들은 국내 최초이자 최대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성과를 소개하고, 차별화된 클라우드 역량을 바탕으로 디지털전환을 가속하겠다는 계획을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모든 산업 분야에서 AI 적용이 확대되고, 언택트 업무환경이 조성되면서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 할 것으로 전망했다. 제조를 중심으로 금융, 의료, 물류 등 전 산업에서 AI 도입이 되고 업무(원격근무), 교육(온라인강의), 엔터테인먼트, 쇼핑 등에서 이제 언택트(비대면)는 필수적이란 말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KT는 공공·금융 클라우드 서비스를 3세대로 업그레이드한다. 3세대 클라우드 서비스는 원격근무와 같은 언택트 생활을 위한 DaaS(서비스형 망 분리),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과 결합하는 XaaS(혁신서비스와 결합해 클라우드를 제공) 등을 제공한다. 또한 2개 이상 서비스형 클라우드를 연결해 사용하는 ‘멀티 클라우드’와 서비스형 클라우드와 구축형 클라우드를 연결해 쓸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지원한다.
올해 9월에는 ‘KT AI/DX 플랫폼(가칭)’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 등 KT의 혁신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플랫폼화 한 것이다. 이 플랫폼은 고객사의 필요에 따라 유연하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AI, 빅데이터 등을 최적화해 활용할 수 있어 이를 기반으로 획기적인 서비스 개발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금융·의료 분야의 데이터 산업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KT는 지난 5월 하나은행의 금융플랫폼 구축사업을 수주하며 국내 최초로 금융 클라우드 가이드라인 141개를 모두 통과한 바 있다. 검증된 KT 금융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고객 데이터 통합 저장, 분석 및 이를 활용한 고객 서비스, 내부 신용평가 등에 빅데이터와 AI를 결합한 차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클라우드 도입에 적극적이다.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의 차세대지방재정시스템, 광주 AI 데이터센터 등 2023년까지 약 7000억원 규모의 구축형 클라우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또한 4000억원 규모의 서비스형 망분리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KT는 차별화된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 1,000억원 수준인 클라우드 분야 매출을 매년 2배 이상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내비쳤다.
윤동식 KT Cloud·DX사업단장 전무는 “고객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해 대한민국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KT의 비전 실현을 위해 클라우드의 역할과 중요성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KT는 클라우드 생태계 활성화 및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시켜 ‘디지털 뉴딜’의 한 축을 담당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KT는 전국 최대 클라우드 인프라를 바탕으로 7,000여 기업·공공 고객을 확보하고 공공·금융 클라우드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