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FSB는 20일(현지시간) 코로나19 대응 관련 FSB의 입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FSB는 글로벌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한 금융규제 개혁 추진하는 기구로 주요 20개국(G20)이 참여한다. 앞서 FSB는 지난 19일 2차 임시 운영위원회를 열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각국의 정책대응 현황을 공유했다.
FSB는 성명서를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국이 FSB와 같은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성하는 등 각종 개혁조치를 이행했다”며 “그 결과 현재의 글로벌 금융시스템은 과거에 비해 시장 충격에 대한 내구성, 시장 기능의 연속성 유지, 실물경제 지원을 위한 자금 공급 기능의 유지 측면에서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각국이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물시장에 대한 금융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현행 국제기준의 틀 내에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장려했다.
FSB는 권한당국과 금융기관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인 어려움에 직면한 가계·기업 등에 금융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성을 제공하고 ▲금융시스템에 있는 자본 및 유동성이 적재적소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등 2가지 목적 달성을 위해 현행 국제기준의 틀 내에서 유연성을 발휘하는 것을 권장했다.
FSB는 “다수의 FSB 회원기관들은 이미 시장 기능 지원 조치, 업무 연속성 계획을 감안한 조치를 취함은 물론 가용한 완충 자본·유동성 사용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언급했다.
FSB는 또 글로벌 금융안정성과 시장 기능 유지, 경제 성장 지원을 위한 각종 정책대응과 관련해 지속적으로 공조하기로 했다.
FSB는 “국제기준 제정 기구를 포함한 FSB 회원기관들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회원기관들은 글로벌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고 시장 기능을 유지하며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금융시스템의 역량을 보존하기 위해 금융정책 등 각종 정책대응에 있어 공조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