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홍철 연구원은 "중국은 자신들의 원칙이 관철될 때까지 무역협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고 연준의 대폭적인 금리인하 타이밍은 늦춰지면서 글로벌 유동성 공급도 지연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그는 "한은은 10월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지만 오매불망하는 물가 반등의 요소는 환율을 제외하면 없다"면서 "경기가 나쁘니까 환율이 상승하는 것인데 이로 인해 물가가 소폭 올랐다고 금리인하에 주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서울 부동산 가격은 오를 것이지만 거래가 없고 규제는 강화됐으므로 경기에는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외국인 채권 매도는 달러 유동성 부족에 따른 펀드와 재정거래 청산 때문"이라며 "이는 금리에 상승요인이 아닌 결국에는 하락 요인이다. 적자국채, MBS, 은행채 발행 증가 등의 수급 우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