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지윤 연구원은 "이번 시위는 홍콩의 독립적 사법제도 수호에 대의 명분을 가지나, 이면에는 누적된 반중국 정서가 자리잡고 있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그는 "부동산 가격 급등, 빈부격차 확대, 실업난을 겪으며 축적된 서민들의 불만이 시위로 이어졌다"면서 "중국은 시위대가 요구하는 독립적 사법제도와 민주주의를 수용할 수 없는 체제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진핑 주석이 강조한 일국양제는 중국 안에서 보장되는 자치와 제한적 자유를 의미한다"면서 " 홍콩의 요구 수용시 티베트, 신장 지역의 소수민족, 대만 분리 독립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이 주창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 근간을 흔든다는 것이다. 또 무력 개입시 글로벌 금융시장 타격이 불가피해 관찰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염 연구원은 "홍콩의 물류/금융허브 지위를 감안하면 중국의 무력 개입은 글로벌 경제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미칠수 있다"면서 "다만 높아진 중국 경제의 위상에 국제사회의 대응은 제한적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 홍콩/중국 경기 위축, 2) 홍콩의 글로벌 금융, 물류 허브 지위 상실, 3) 외국인 자금 이탈, 4) 정치적으로는 미중 무역 협상 지연 혹은 고조 위험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향후 무력 투입 여부와 시위 강도는 예단할 수 없는 영역"이라며 "무력 투입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 현실화 판단보다 관찰과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기"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엔 11주째 지속된 홍콩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 시위가 지정학적 긴장으로 확산됐다. 8월 12일 시위대가 홍콩 국제공항을 점령하자 중국 정부는 시위대를 테러리스트로 정의하며 비난의 수위를 높이기도 했다. 17일 전인대는 홍콩에서 발생한 극단적 폭력행위는 법에 따라 처벌해야 한다며 무력 개입을 시사하기도 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