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삼 연구원은 "지난 주 ECB 회의에서도 추가 금리인하와 양적완화를 실시할 수 있다는 시그널을 제시한 바 있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그는 그러나 "미국과 독일금리는 7월 초 기록한 금리저점 보다는 높은 수준에 있다"면서 "실제 중앙은행들의 노력이 실물경기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도 점검하고 다음 행보를 이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책기대가 살아있는 한 시장금리 하락관성 자체가 깨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3분기에도 금리반등은 매수기회가 될 것"일고 내다봤다.
아울러 "국내 안심전환대출 이슈에도 불안한 경기흐름이 우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글로벌 통화정책이 완화적 액션을 취하면서 오히려 금리 하락이 주춤해진 반면 한국 채권시장은 아직도 하락관성이 우세하다"면서 "7월 금리인하 단행에도 실물경기 개선은 쉽지 않은 듯 보이고 오히려 부각된 정책적극성이 연내 인하기대를 지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제2 안심전환대출은 과거 채권시장에 공급충격을 안겼던 재료라는 점에서 악재이나 시장의 반응은 크지 않다"면서 "당시 일시적 금리상승 충격 이후 결국 어려운 실물경기를 쫓아 금리가 하락했던 학습효과를 떠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