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은 13일 올해 1분기(연결기준) 매출 5조178억원, 영업이익 1790억원을 잠정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15.4%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14.8% 줄었다.
매출은 식품사업과 바이오・생물자원사업, CJ대한통운 등 전 사업부문에서 모두 증가했다. 다만, 주력 사업부문인 식품사업과 생물자원사업에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식품사업의 경우 매출 1조7502억원, 영업이익 1009억원을 거뒀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분기(8.9%) 대비 3%포인트 줄어든 5.9%를 기록했다.
가공식품사업 매출은 지난 3월 편입된 쉬완스 효과와 간편가정식(HMR) 호조로 49% 고성장했다. 특히 3월 기준 쉬완스 매출 2403억원이 반영되며 글로벌 매출 부문이 198% 성장했다. 신규 론칭한 '비비고 죽'이 시장에 안착하며 HMR 사업은 전년 대비 43% 성장했다.
다만, 쌀과 연육 등 주요 가공식품 원재료인 농수산물 가격 부담 및 옥수수 전분 투입가 급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됐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슈완스 인수 효과에도 원가 부담이 지속하고 있다"며 "진천 신공장 본격 가동을 앞두고 사전 확보한 인건비와 고정비 부담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사업의 경우 매출 5894억원, 영업이익 524억원을 거뒀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분기(8.2%) 대비 0.7%포인트 늘어난 8.9%를 기록했다. CJ제일제당 측은 주력 제품은 원가 절감, 고수익 제품은 비중을 늘리며 영업이익 8% 증가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생물자원사업은 적자 폭이 확대됐다. 곡물가가 오르며 해외 사료 판가도 인상돼 매출(5008억원)은 2% 성장했으나, 예상 밖 일시적 요인으로 영업적자가 확대됐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으로 중국에서 적자가 확대됐으며, 국내에서도 소비 위축으로 돈가가 하락했다"며 "베트남에서는 구제역으로 폐사손실이 발생했으나 돈가 강세로 전년비 흑자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쉬완스를 비롯한 해외 M&A 효과가 2분기 이후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며 "주요 원재료 가격 또한 2분기 이후 하향 안정세에 접어들며 수익성 개선에도 보탬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회사 측은 "생물자원부문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영향이 일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글로벌 축산가격이 4월부터 반등하고 있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