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위원은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향후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기의 반등 여부, 국내 경기 및 고용의 흐름, 가계부채 및 부동산시장 추이 등에 대해 시간을 갖고 점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A 위원은 "지난 통화정책방향 회의 이후 경제동향을 살펴보면, 세계경제는 1월 전망 시 보다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모습인 바,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B 위원은 "세계교역의 부진 속에 국내외 경제의 성장세 둔화가 보다 뚜렷해지고 있고 물가상승률은 계속 낮아지고 있으므로,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B 위원은 "최근 우리 경제의 실물 측면을 살펴보면 대외적으로는 세계경제의 성장세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적으로는 대외 요인에 따른 설비투자 조정에 더하여 민간소비의 둔화조짐이 나타나면서 전체적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모습"이라고 우려했다.
C 위원은 "물가 및 금융안정을 둘러싼 여건과 정부의 확장적 정책 기조를 감안할 때 통화정책은 현재의 완화적 기조를 유지함으로써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착시키고 금융불균형 확대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D 위원은 "현재의 거시경제 여건을 감안할 때 경기 및 물가의 둔화흐름이 뚜렷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지 않으므로,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향후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서는 거시경제의 하방위험 완충에 보다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E 위원은 "금번 성장 및 물가 전망의 하향조정에도 불구하고 금융상황이 완화적인 데다 금융불균형에 대한 우려도 여전하므로, 금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F 위원은 "주요국 정책과 금융상황의 최근 전개 추이를 감안할 때 2/4분기 이후 국내외 경기가 추가로 둔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적으로는 금융불균형 정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므로,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대내외 거시경제 및 금융시장의 흐름을 좀 더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