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2019년 3월호)'에 따르면 전국 25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올해 설비투자 계획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전년보다 투자 ‘확대’ 계획인 업체가 전체의 41.3%로, ‘전년수준 유지’(31.3%) 또는 ‘축소’ (27.4%) 계획인 업체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은은 "설비투자 확대 계획인 제조업체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투자 확대 계획인 업체중에선 전년대비 5% 미만 확대 업체 비중(46.2%)이 가장 크다"며 "축소 계획인 업체들을 보면 전년대비 10% 이상 축소 업체 비중(39.1%)이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이들 구간에 속한 업체 비중이 지난해 실적대비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제조업체들의 투자 의욕이 높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기업 규모별로 투자 성향을 보면 중견·중소기업은 전년보다 개선된 투자 의지를 보였지만 대기업은 개선된 가운데서도 다소 보수적인 투자 태도도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중견·중소기업은 투자 확대 계획인 업체 비중이 상당폭 상승(’18년 27.0%→’19년 39.4%)하고 축소 예정 업체 비중은 소폭 하락(29.2% → 24.8%)했다.
한편 대기업은 투자를 늘리려는 업체와 줄이려는 업체가 모두 많아졌다. 특히 확대 업체중에서는 전년대비 5% 미만 확대 비중이 대폭 상승(29.5%→52.0%)했고, 10% 이상 확대 비중은 하락(40.9%→28.0%)했다.

주요 업종별로는 조선, 철강, 기계장비 제조업 등에서 설비투자 확대 계획인 업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IT 제조업의 경우 전년수준 유지 업체 비중이 절반, 확대 의향 업체가 3분의1 정도였다.
석유화학·정제업은 확대·유지·축소 비중이 비슷했고, 자동차 제조업은 확대 계획인 업체가 20%대에 불과해 주요 업종 가운데 투자 태도가 가장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실적과 비교하면 조선업 및 철강업에서 투자 확대 업체 비중이 상승했고, 나머지 업종은 전년수준 유지 응답 비중이 상승했다.
한은은 "올해 제조업체들의 설비투자 확대(전년수준 유지 포함) 사유 응답 비중을 보면‘통상적 유지·보수’(23.7%)가 가장 높았다"며 "뒤를 이어‘신제품 생산’(16.8%), ‘수출 확대’(15.9%), ‘자동화 설비 도입’(1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설비투자 축소 사유는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26.9%), ‘내수 부진’(23.9%), ‘계획된 설비투자 완료’(17.3%), ‘수출 부진’(12.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조사 당시에 설비투자 계획 축소 사유와 비교해 보면, 경기 불확실성 및 국내외 수요 부진을 답변한 업체 비중이 상승했다며, 경기 관련 이슈가 기업들의 투자 축소결정에 주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올해 설비투자의 중요 여건에 대해 업체들은‘수출 및 내수 상황’,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은 부정적인 평가가 우세했지만, 내부자금, 금융기관 차입, 외부조달 등 ‘금융 여건’은 중립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견해가 많았다고 밝혔다.
한은은 "제조업체들이 향후 설비투자 확대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로 내수경기 부양(24.7%), 투자세액공제 등 세제지원(20.4%), 정책자금 지원 확대(17.7%), 수출지원(16.6%), 연구개발 지원(12.0%), 투자 관련 규제 완화(8.1%) 등을 주문했다"고 밝혔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