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위원은 "국내경제와 세계경제의 성장 둔화세가 예상된 범위 내에서 진행되는 가운데 물가 오름세가 둔화된 만큼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1.75%의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대내외 여건 변화를 좀 더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B 위원은 "단기간 내에 민간부문의 경기 개선이나 물가의 의미 있는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이므로,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현재의 1.75% 수준에서 유지하고 향후 입수되는 지표를 주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C 위원은 "지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이후 기준금리 운용여건에 의미 있는 변화가 없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경제 상황 전개의 불확실성이 높으므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75%에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표명했다.
D 위원은 "세계경제의 성장세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년 성장경로의 하방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물가는 1% 내외의 낮은 상승률을 지속하고 있으므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D 위원은 "올해의 물가환경은 누적된 관리물가 상승압력을 어느 정도 해소하여 전체 물가상승률을 목표 수준에 좀 더 가깝게 상향시키는 것이 거시경제의 안정관리 차원에서 바람직한 상황이라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E 위원은 "지난 1월 회의 이후 대내외 경제상황의 변화가 크지 않은 가운데 금융불균형 누증을 점진적으로 해소해 나갈 필요성이 상존하고 있는 만큼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현 1.75%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E 위원은 " 부동산시장에 대한 자금쏠림으로 나타난 금융불균형의 누증속도는 둔화되고 있지만 그 정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여전히 큰 상황"이라며 "과도한 레버리지 확대에 따른 비효율적 투자와 부채 증가는 중기적 성장 및 물가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중기적 물가목표의 달성도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F 위원은 "세계경제의 하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다소 커졌으나 국내경제가 1월 전망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고 물가상승 압력은 당분간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기준금리를 현 1.75% 수준에서 동결하고, 실물경제 및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