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공개된 의사록을 보면 A 위원은 "지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이후 국내경제 흐름에 큰 변화는 없고,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에 대한 우려도 여전한 상황"이라며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75%에서 유지하고 후속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며 금리 동결을 주장했다
A 위원은 "아울러 통화정책 완화정도의 추가 조정여부는 향후 입수되는 경제지표들을 바탕으로 성장과 물가흐름, 그리고 금융안정 리스크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신중하게 결정해 나가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B 위원은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1.75%의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실물경제 상황 전개, 가계대출 흐름 및 국제금융시장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특히 주요국 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C 위원은 "금년 경제성장 전망이 소폭 하향 조정된 반면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일부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현 1.75% 수준에서 동결하고, 국내 실물경제 동향과 함께 미국 통화정책 및 경기상황 변화를 면밀히 점검해 나가야 한다"며 금리 동결에 찬성했다.
D 위원은 "물가압력이 미약해 완화적 기조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는 가운데 누적된 금융불균형 문제에 대응할 필요성이 상존하는 만큼 금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1.75%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통화정책 기조의 적정성을 계속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D 위원은 "물가압력은 미약하나마 현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내수압력이 물가의 외생적 하방압력을 상쇄하며 물가를 목표치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며 "그렇기에 현재의 완화적 기조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E 위원은 "민간부문의 성장모멘텀이 미약한 가운데 물가도 낮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향후 거시경제 흐름을 면밀히 살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금리 동결을 주장했다.
F 위원은 "중국 실물지표 둔화 등 부정적 대외환경의 영향이 우리 경제에 점차 나타나는 가운데 물가상승압력도 미미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금번 기준금리는 현 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