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건형 연구원은 "시장 주도의 유동성 창출이 이뤄지기 위해선 금융시장 안정성이 전제돼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18년 6월 ECB 회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면서 "당시 ECB는 QE 종료를 공식화했으나 정책금리는 적어도 2019년 여름까지 동결할 것이라는 포워드 가이던스를 제시했으며 시장은 이를 비둘기파적으로 해석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금융규제 완화에 따른 유동성 확대 기대도 유효하다. 트럼프닫기

그는 "중소형 은행에 한해서 이뤄지는 규제 완화가 대형 은행까지 확대될 경우 대형은행의 대출 증가세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봤다.
연준 중심에서 시장 주도의 유동성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준의 유동성 창출 효과는 연준의 증권 보유액과 연준에 예치된 지준금 간 차이로 추산이 가능하다. 연준이 QE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더라도 금융기관이 이를 지준금으로 재예치할 경우 유동성이 일부 회수된다.
하 연구원은 "2017년 10월 자산재투자 종료가 시작되면서 연준발 유동성 효과는 약화됐으며, 2018년에는 시장 부담으로 작용했다"면서 "다만 2018년 10월부터 연준의 자산 매입 축소에도 지준금 감소가 더 빨리 이뤄져 시중에 유동성이 공급되기 시작했다"고 상기했다.
그는 "시장 유동성 환경을 측정하는 통화유통속도는 지난해 1/4분기부터 반등했으며, 통화승수는 2015년부터 꾸준히 개선돼 2013년 수준까지 회복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