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금운용액에서 자금조달액을 뺀 값이 양(+)인 경우 순자금운용(net lending), 동 수치가 음(-)인 경우 순자금조달(net borrowing)을 의미한다.
순자금운용 부문은 타 부문에 자금을 공급하고, 순자금조달 부문은 타 부문으로부터 자금을 공급받는 것이다.
구성별로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3분기 순자금운용 규모가 전분기와 동일한 11조원 수준을 유지했다.
자금조달(27.6조원 → 25.1조원) 및 자금운용(38.5조원 → 36.1조원) 규모 모두 전분기보다 축소됐다.
자금조달은 금융기관 단기 차입금을 중심으로 감소했고, 자금운용은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등에 대한 자금운용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한은은 "순자금운용 규모가 예년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며 "높은 수준의 신규 주택구입 지속이 원인"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3분기 평균 순자금운용 규모는 13.6조원으로 지난 11월보다 2.6조원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3분기 평균 주거용 건물건설 비용은 16.8조원으로 지난 11월(28.1조원)보다 11.3조원 낮은 수준이었다.
비금융법인기업은 3분기 순자금조달 규모가 -7.2조원으로 전분기(-15.4조)보다 순자금조달 규모가 8.2조원 축소됐다.
자금조달(27.5조원 → 51.2조원) 및 자금운용(12.1조원 → 44.0조원) 규모 모두 전분기보다 확대됐다.
한은은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조정양상 및 일부 공기업의 영업이익 증가로 전분기보다 순자금조달규모가 8조원 가량 축소됐다"고 밝혔다.
자금조달에선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이 모두 확대됐다. 자금운용은 금융기관 예치금 및 채권에 대한 자금운용이 전분기의 (-)에서 (+)로 전환하며 증가했다.
일반정부는 전분기대비 순자금운용 규모를 4.8조원 확대했다. (13.1조원 → 17.9조원)
한은은 "정부가 상반기 중 재정을 조기 집행함에 따라 하반기에 정부지출 규모가 줄어들어 자금잉여가 늘어나는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분기보다 3분기 순자금운용 규모가 5조원 가량 확대됐다"고 밝혔다.
국채 상환 등으로 인해 자금조달이 (+)에서 (-)로 전환됐고, 자금운용은 금융기관 예치금이 전분기 (+)에서 (-)로 전환하며 감소했다.
국외 기준으론 전분기대비 순자금조달 규모가 14.2조원 확대됐다. (-14.0조원 → -28.2조원)
자금조달(우리나라 대외자산 증가)(34.9조원 → 42.0조원) 규모는 전분기에 비해 확대된 반면 자금운용(대외부채 증가)(20.9조원 → 13.8조원) 규모는 축소됐다.
자금조달은 해외증권을 통한 자금조달 확대 등으로 7.1조원 증가했다.
자금운용은 외국인 주식투자가 전분기의 (-)에서 (+)로 전환됐으나 국내채권, 직접투자 등을 통한 자금운용이 축소됐다.
9월말 기준한 국내 비금융부문의 금융자산은 전분기말에 비해 104.0조원 증가한 8,145.5조원을 기록했다. 금융부채는 58.4조원 증가한 5,342.8조원을 기록했다.
금융자산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39.1조원), 비금융법인기업(+49.4조원), 일반정부(+15.5조원) 모두 증가했다.
금융부채도 가계 및 비영리단체(+25.1조원), 비금융법인기업(+32.8조원), 일반정부(+0.6조원) 모두 증가했다.
국내 비금융부문의 순금융자산은 2,802.7조원으로 전분기말보다 45.6조원 증가했다. 금융자산/금융부채 배율은 1.52배로 전분기말(1.52배)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금융자산은 2,008.5조원으로 전분기말보다 14.1조원 증가했다. 금융자산/금융부채 배율은 2.14배로 전분기말(2.15배)보다 소폭 하락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