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창용 캠코 사장./사진=캠코
문창용 사장은 올 한해 포용적 금융 실천,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캠코의 비전을 새로 정립했다.
기존 '금융과 공공의 자산 가치를 높여주는 공적 자산관리전문기관'에서 '가계·기업·공공자산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공적자산관리전문기관' 캠코의 포용적 금융 역할을 강화했다. 새 비전에 맞게 가계 재기 지원, 기업 정상화 지원, 공공가치 창출, 사회적가치 실현 선도 4가지 전략목표도 설정했다.
캠코 관계자는 "가계부문에서는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통합관리 강화, 장기소액연체가 재기지원, 주택담보대출 한계차주 지원 등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가계 부담 완화를 위한 제도를 마련했다"며 "기업부문에서는 조선·해운산업 불황에 따른 금융부실과 한계기업 누적에 따른 기업부실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고자 유동성 부족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 지원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기업구조조정 역할도 강화했다. 지난 4월 개소한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 설립이 그 예다.
캠코는 기업구조혁신 정책과 자본시장 중심 원스톱 지원을 위해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를 구축했다. 센터에서는 기술력을 갖춘 회생기업 등을 선별한 후 투자자매칭,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사업기반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11월 말 기준 239개 기업이 센터 회원으로 가입해 투자매칭,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 공적재기지원 안내 등 지원 상담을 받았다"며 "이 중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을 통해 7개 기업에 550억원 유동성을 지원한 바 있다"고 말했다.
담보부사채 신용공여로 4개 기업이 1140억원 신용공여를 지원해 중소·중견기업 금융비용을 절감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해양산업 활성화를 위한 포용적 금융에도 앞장섰다.

캠코 문창용 사장이 지난 11월 26일 ‘부산시 동구 북항’에 정박해 있는 캠코선박펀드 지원 선박을 방문하여 관계자들과 선박 운영성과 등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캠코
이미지 확대보기캠코의 비전을 직원과 함께 실현하기 위해 문 사장은 취임 직후부터 직원과 격의없는 소통을 가졌다.
문창용 사장은 "'권위는 내려놓을수록 따라오고 상대방을 존중할수록 나 자신이 존중받는다'라는 기조로 캠코에 와서 직원들과 경영철학을 공유했다"고 설명했다.
문 사장은 직원들에게도 반말을 하지 않는다. 취임 첫날에는 노조 사무실에 찾아가 먼저 협조를 구한 일화는 유명하다. 토크콘서트 등의 소통행사를 물론 전 직원과 만나는 자리도 가지고 있다.
문창용 사장은 "1500여명의 캠코 직원과 모두 식구가 되는 것을 목표로 1090여명의 직원과 다양한 테마 식사 자리를 가졌다"며 12개 전 지역본부 방문거리를 합하면 지구반경인 6400km를 넘는 8900km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직원들이 자유롭게 건의사항을 제안할 수 있도록 사내 인르라넷에 'CEO 톡톡라운지'도 신설해 익명으로 글을 올릴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문 사장은 "'CEO톡톡라운지'에 조직문화, 혁신 등 사장에게 건의하고 싶은 내용을 익명으로 올릴 수 있도록 했다"며 사장이 직원들의 질문제 답을하는 '캠코 이너뷰(KAMCO Inner-view)'도 진행하며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창용 사장은 2019년에도 포용적 금융정책 핵심 수행기관 역할을 하고 공적자산관리전문기관으로서 소임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1월 캠코 법정자본금을 1조원에서 3조원으로 늘리는 캠코법 개정안이 발의, 개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어 캠코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문 사장은 "금융공공기관 부실채권 통합 관리에 이어 원스톱 기업구조조정 플랫폼 구축, 국유재산 복합 개발 선도 사업을 신규 추진하겠다"며 "가계 재기 지 부문은 채무자 중삼 종합 재기 지원 기반을 완성하고 기업 정상화 지원 부문은 자본시장 중심 원스톱 기업구조혁신 지원, 경영위기 중소기업·해운업 정상화 지원 강화를 통해 중소·중견기업 재기 지원 전담창구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