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업은 3분기 성장성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13일 '2018년 3/4분기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3분기 제조업 부문 대기업이 높은 성장성을 보였지만, 비제조업 중소기업 성장성이 후퇴한 것이 우리 기업들 성장성을 둔화시킨 요인이 됐다.
최저임금 상승, 주 52시간 근로제 등 워라벨(일과 생활 균형) 지향 정책으로 일자리가 줄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부작용 속에서 산업계에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엇갈린 성장 흐름이 나타난 것이다.
한은은 3분기 기업 성장성이 둔화되긴 했지만 수익성, 안정성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성장성에서 법인기업들의 매출액증가율(4.8→3.5%)이 전기보다 하락했고, 총자산증가율(2.1→2.0%)도 전년동기보다 하락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증가율은 제조업 및 대기업이 전기보다 상승했으나, 비제조업과 중소기업은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3분기 제조업, 대기업 매출액 증가율이 6.2%, 4.9%를 기록해 2분기보다 각각 1.9%p, 0.3%p 상승했다. 비제조업과 중소기업은 매출액 증가율이 -0.4%, -2.4%로 전기대비 5.9%p, 8.1%p 대폭 감소했다.
대내외 경기 둔화 우려가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3분기 제조업 부문은 양호한 성장성을 보인 반면, 비제조업과 중소기업은 성장성이 크게 떨어졌다.
총자산증가율은 제조업이 전년동기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비제조업 및 대기업은 전년동기보다 하락했다. 중소기업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2.7→2.7%)은 전년동기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비제조업(1.3→1.0%) 및 대기업(2.0→1.8%)은 하락했다. 중소기업(2.7→2.9%)은 상승했다.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제조업과 대기업이 전년동기보다 상승했다. 하지만 비제조업과 중소기업은 전년동기보다 하락했다.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제조업, 비제조업, 대기업이 전년동기보다 상승했지만, 중소기업은 전년동기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기계·전기전자를 중심으로 영업이익률(9.0→9.7%)과 세전순이익률(8.5→9.1%)이 상승했다. 비제조업은 전기가스를 중심으로 영업이익률(5.1→4.4%)은 하락했으나 세전순이익률(3.5→4.2%)은 상승했다.
대기업은 영업이익률(8.0→8.4%)과 세전순이익률(7.0→8.0%)이 상승했다. 중소기업은 영업이익률(4.8→4.1%)과 세전순이익률(4.2→3.5%)이 하락했다.
안정성은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가 2분기보다 소폭 감소해 개선되는 모습이었다.
부채비율(83.9→83.0%)과 차입금의존도(20.5→20.3%)가 전기말보다 각각 0.9%p, 0.2%p 하락했다.
제조업은 전기말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비제조업, 대기업, 중소기업은 하락했다. 차입금의존도는 모두 전기말보다 소폭 하락했다.
제조업은 부채비율(67.1→67.2%)이 소폭 상승했으나 차입금의존도(18.3→18.3%)는 전기 수준을 유지했다. 비제조업은 부채비율(115.1→112.6%)과 차입금의존도(23.5→23.2%)가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부채비율(각각 79.0→78.1%, 108.9→107.9%) 및 차입금의존도(각각 18.6→18.4%, 28.7→28.5%)가 하락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