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과장은 "바이백 종목 등을 검토하는 단계이며 7일 중 빨리 정리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6일 2019년도 예산 관련 금년도 초과세수로 적자국채 4조원을 연내에 조기 상환하기로 합의하면서 12월 중 기존의 4조원 바이백 외에 추가로 4조원을 더 바이백하게 된 것이다.
만기가 짧은 경과물로 바이백을 실시하는 가운데 이번엔 종목도 더 늘릴 수밖에 없다는 게 기재부의 입장이다. 이미 12월에 4조원이라는 대규모 바이백이 실시되는 데다 추가로 4조원을 더 상환하기 때문이다.
이 과장은 "4조을 추가로 한다는 게 6일 공식화 됐다"면서 " 물량 자체가 늘어나니 종목들도 늘어난다"고 밝혔다.
그는 시장이 원하거나 제도적으로 수급 문제가 있는 물건들을 바이백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이 과장은 "수급상 정부가 사줬으면 하는 물건들도 PD협의회와 얘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바이백 대상채권들이 다시 바이백 대상이 될 수도 있는 가운데 바이백 대상 종목 수는 현실적으로 더 늘어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아울러 종목간 편차가 심한 물가채의 경우 기존에 발표된 15년, 16년 발행물 외의 종목도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이 과장은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지도 따져야 한다"면서 전체적인 시장 상황을 고려해 종목을 선정할 뜻을 내비쳤다.
그는 이번과 같은 긴급하게 대규모 바이백이 결정된 것은 처음이라며, 국회에서 결정한 사항을 무리없이 진행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과장은 "이번 의사결정은 예산이나 재정과 같은 큰 틀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국채과 소관은 결정이 나면 실행을 해서 소화야한다. 오퍼레이셔널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국채과가 이번 의사결정에 어떤 역할을 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나 정부에서 방침을 정하면 큰 무리 없이 일이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세수 4조원이 문제가 되면서 여러 가지 안을 놓고 협상이 진행됐다. 세수·세출·국채발행량 등을 축으로 밀고 당기다가 결국 국고채 조기상환으로 결정난 것이다.
정부와 국회가 여러가지 안으로 절충을 모색한 결과 이 같은 의사결정이 이뤄졌으니 국채과는 12월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없이 물량을 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란 입장이다.
이 과장은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았으니 무리없이 소화되록 할 것이며, 디테일한 내용은 7일 중으로 알리겠다"고 부연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