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박 사장은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 출석해 “완전자급제를 진행해도 그대로 선택약정할인 25%를 유지한다는 것이 경영진들의 판단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완전자급제가 시행될 경우 유통 종사자들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박 사장은 “8500개의 이동통신 대리점과 2만개 유통점 등의 종사자들이 많은데 우리나라의 디지털 생활은 여러 가지 교육이 필요하고 이런 방향으로 도움을 주도록 경력을 전환하는 방법으로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박 사장은 단말기 완전자급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되기 시작한 작년부터 긍정적인 입장을 고수해왔다.
지난해 SK그룹 확대경영회의에서 박 사장은 “통신요금 인하는 통신사들과 단말기 제조사들이 동참해야 하는 문제다”며 “과도한 보조금 지급 구조로 인한 통신사업자의 비즈니스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해 9월 ‘핀크’ 출시 행사에서도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에 관한 질문에 “시장이 원하면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밝힌 바 있다.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