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주요지역, 3월 대비 7월 아파트 거래가격. /자료=(주)직방.
27일 (주)직방에 따르면 3월 대비 아파트값이 가장 높아진 지역은 양천구다. 정부의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강화로 직격탄을 맞았던 목동신시가지 아파트가 지난 5월 저가매물이 소진됐고, 이후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4개월 간 34.8%올랐다.
이어 중구가 15.5% 오른 가격에 거래됐다. 중구는 도심과 가까워 주거 선호도는 높지만 아파트가 희소해 집값이 오름세를 보였고, 여기에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7월 거래가격이 크게 높아졌다. 그 뒤를 동작구(10.4% 상승), 용산구(9.5% 상승)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주)직방 관계자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등의 영향으로 1분기 잠시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며 “정부는 과열현상과 관련하여 투기지역 추가지정 검토에 이어 공시가격 인상 카드까지 꺼냈지만 남은 하반기에도 서울 부동산 시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기부진으로 연내 금리 인상이 불투명해진 상황으로 시장의 부동자금이 부동산에 쏠리는 현상은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정부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 상승은 견조세를 유지하는 시장이 반복되며 매도자 입장에서는 일단 버티자는 전략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