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시민의 경우 강남구가 298만원으로 소득이 가장 많았는데, 평균 대비 1.7배가 넘었다.
또 연금 소득자의 경우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에서 소득이 높았다.
신한은행은 18일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이같은 내용의 '서울시 생활금융지도' 소득편을 공개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시 개인 고객 155만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급여소득자 128만 명, 자영업자 11만명, 연금수급자 16만명이다.
서울 직장인 월급은 223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보면 종로구가 서울시 평균 대비 1.59배인 35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주요 기업 본사가 종로구에 밀집한 영향으로 추정된다.서린동(574만원), 공평동(512만원), 세종로(376만원)도 급여 수준이 높았다.
주요 업무지구 중 광화문은 급여수준이 가장 높고 연평균 증가율도 높았다. 명절 상여금 효과 등이 반영됐다.
서울시 전문직 급여는 377만원으로, 일반 사무직 월급 299만원과 급여 격차가 났다.
지역별로 보면 전문직은 강서구(614만원), 서초구(507만원), 강남구(449만원)가, 일반 사무직은 종로구(373만원), 강서구(337만원), 서초구(332만원)가 높았다.
전문직과 일반 사무직 간 급여 차이가 가장 큰 지역은 강서구 공항동으로 나타났다. 항공기 조종사 등이 포함된 지역으로 전문직 급여는 727만원, 일반 사무직은 373만원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사회초년생에 해당하는 26∼30세가 월 195만원, 31∼35세는 256만원, 36∼40세 287만원, 41∼45세 327만원 으로 많아졌다.
하지만 46∼50세의 평균 월급은 322만원으로 오히려 41∼45세보다 낮았다.
기업 규모로 보면 대기업은 348만원, 외부감사를 받는 중소기업은 279만원, 비(非)외감 중소기업은 220만원이었다.
대기업 급여소득자는 50세까지 급여 수준이 올라가지만 외감 중소/비외감 중소기업의 경우 40대 초반에서 최고였다.
거주지 별로 보면 고소득자일수록 강남 3구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강남구 소재 기업 급여소득자의 거주지 중 강남 3구의 비율이 35%에 달했다.
지난해 서울시에 사업장이 소재하는 자영업자의 월 소득은 카드 가맹점 매출액 기준으로 172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지역 자영업자 소득은 298만원으로 서울시 전체의 1.74배였다.
가로수길, 대치동 등 서울 강남 대표 상권의 자영업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중 신사동이 38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평균 대비 표준편차가 가장 큰 자치구는 용산구로 8.41배에 달했다.
업종 별로는 의료업이 566만원, 이어 음식업(323만원), 스포츠업(218만원)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의료업(1016만원), 음식업(525만원), 교육(329만원)에서 모두 소득이 가장 많았다.
동별로 보면 의료업종은 강남구 논현동(1999만원), 음식업은 종로구 공평동(833만원), 교육업종은 학원 밀집가인 강남구 대치동(497만원)이 소득이 우위였다.
서울시 국민연금 수급자들의 연금 소득은 월 34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금 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서초구로 46만원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