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일(현지시간) 칠레 생산진흥청(CORFO)은 자국 내 리튬을 원료로 현지에서 양극재를 생산하는 리튬프로젝트 입찰에서 포스코·삼성SDI 컨소시엄을 최종 사업자로 선정했다.
칠레 생산진흥청은 지난해 5월 현지에 리튬이온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 사업에 투자하는 사업자에게 리튬을 장기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칠레는 자국의 리튬 후방산업 확대를 위해 이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한국, 칠레, 중국, 벨기에, 캐나다 등 총 12개의 글로벌 기업들이 칠레 정부 주관 입찰에 참여했으며 칠레 생산진흥청은 두차례의 심사를 통해 삼성SDI-포스코 컨소시엄을 비롯한 중국 푸린, 칠레 몰리멧 3개사를 리튬 프로젝트 최종사업자로 선정했다.
포스코·삼성SDI 컨소시엄은 575억원을 칠레 북부에 위치한 메히요네스에 양극재 생산 합작법인을 설립하게 됐다. 칠레 리튬을 원료로 2021년 하반기부터 연간 3200톤 규모의 전기차용 고용량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지난 1월 중국 화유코발트와의 양극재 및 전구체 생산공장 합작 계약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한데 이어 남미시장까지 이차전지소재 사업영역을 확대하게 됐다. 삼성SDI도 양극재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 받아 원료 수급 경쟁력을 확보했다.
리튬이온전지 필수 소재인 양극재 시장은 세계 각국의 친환경 정책에 따른 전기차, 산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 IT용 대용량 배터리 등 수요 증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