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원장은 7일 금융연구원・금융연수원 주최로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과 금융의 미래’ 국제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 조사에 따르면 핀테크 국내 도입률은 32%, 국제적으로는 12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대 핀테크 기업에 한국 기업은 하나도 포함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최 원장은 지금부터라도 금융 변화의 양상을 명확히 읽어내야 한다며 3가지 해법을 제시했다.
먼저 그는 “금융사들은 핀테크 회사와 상호 협력해 시너지 창출해야 한다”며 “블록체인 공동 인증서비스 세계 최초로 상용화 한 것이 좋은 본보기”리고 말했다.
또 금융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두는 현재 기조에 변함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금융 소비자는 금융사의 동반자”라며 “한 발 앞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 보안 리스크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 인재 양성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최 원장은 “그동안 금융권은 사람 투자에 소홀했다”면서 “변화된 환경에서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융합형 전문가이므로 이런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주최 측인 신성환 금융연구원장과 조영제 금융연수원장이 참석해 컨퍼런스의 시작을 알렸다.
신성환 금융연구원장은 현재까지의 변화는 4차 산업혁명의 시작에 불과함을 알리며 “개인정보 보호, 금산분리 원칙 점진적 완화 등 문제에 대해 규제당국이 심도있는 고민 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조영제 금융연수원장은 “금융업의 가치사슬이 크게 변하고 있고, 금융소비자도 금융프로슈머로 거듭나고 있다”며 “더 이상 경쟁사는 금융사가 아니라 구글 애플 등과 같은 IT회사들”이라고 말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