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은 1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2017년 금융동향과 2018년 전망세미나'를 개최하고 올해 성장률 전망을 연 3.0%(7월)에서 연 3.1%로 상향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국제통화기금(IMF)(3.0%), 현대경제연구원(2.7%), LG경제연구원(2.8%)보다 높다.
내년 성장률은 연 2.8%로 올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IMF(3.0%), 한은(2.9%) 전망보다 낮다.
금융연구원은 "세계경제 회복으로 수출 증가가 이어지고 정부정책 효과로 민간소비가 확대되겠지만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는 올해 2.4%, 내년 2.6%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13.4%에서 3.4%로 급락하고, 건설투자도 7.8%에서 -0.9%로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총수출 증가율은 올해 2.9%보다 높아지면서 경제 성장률 기여도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총수입은 올해 7.6%에서 내년 2.7%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취업자수는 공공부문 채용 확대로 올해 35만명에서 내년 37만명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업률은 3.8%에서 3.9%로 상승할 것으로 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에서 내년 1.8%로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연준(FOMC)의 기준금리 인상과 자산축소에 따른 미 국채 금리 상승 등으로 국고채 3년물 평균 금리는 2.1%로 올해 1.8% 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올해(796억달러)와 비슷한 789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올해 1141원에서 내년 1150원으로 다소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 중국 경제의 부채위험 지속, 지정학적 위험, 가계부채 등이 꼽혔다.
주식시장은 상고하저 흐름을 보이고 채권시장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선반영하고 있으나 인상시기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예측했다.
국내 은행은 내년 당기순이익 규모가 8조4000억원으로 올해(12조9000억원) 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서민금융기관은 법정 최고금리 인하에 따라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