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21일 정 부위원장은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중국A주의 MSCI 편입 관련 주식시장 동향점검회의에서 "MSCI 신흥국지수 내 한국물 비중감소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며 이렇게 말했다.
중국A주의 MSCI 편입에 따라 신흥국 지수에서 중국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27.7%에서 28.4%로 0.73%포인트 증가하고, 한국물 비중은 15.5%에서 15.2%로 0.23%포인트 하락한다.
정 부위원장은 "MSCI 신흥국 지수를 추종하는 글로벌 자금규모를 감안할 때 국내 증시에서 약 6000억원~4조3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실제 중국 A주가 신흥국 지수에 반영되는 것은 1년 후인 내년 6월부터다. 또 중국 A주 신규편입 이슈는 이미 올해 초부터 시장에서 상당부분 예상됐기 때문에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단 분석이다.
최근 신흥국에 투자하는 글로벌 펀드 규모 증가 추세와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금의 순유입 규모 등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올해부터 글로벌 자금이 '채권에서 주식으로',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전환하는 소위 '그레이트 로테이션'에 따라 신흥국에 투자하는 펀드규모가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 4~5월 북미 펀드로는 244억달러가 유출됐으나 같은 기간 신흥국으론 181억달러가 유입됐다.
정 부위원장은 "우리 증시의 외국인 투자자금 순유입 규모는 지난해 12조원 규모였고, 올해에는 1~5월까지만 9조원 이상에 달한다"며 "신흥국지수 내 한국물 비중 감소에 따른 최대 유출가능 규모(4조3000억원)를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신흥국 지수에 있는 한국물을 MSCI 선진국 지수로 옮기는 방안에 대해선 MSCI와 지속적으로 협의해나가겠단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MSCI측에서 요구하는 원화의 역외거래 허용 등은 단기적으로 추진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는 "MSCI측에선 우리나라가 선진국 지수 관찰대상국에 편입되기 위해 원화의 역외거래가 허용돼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소규모 개방경제이고 수출입 비중이 높은 특성상 외환시장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외환관리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역외 외환거래 허용을 단기적으로 추진하기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