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대선 기간 테마주 등 이상 급등 종목을 관리한 결과 개인 투자자는 정치테마주 가운데 186개 종목에서 손실을 본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2월부터 금융감독원, 검찰, 한국거래소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이상 급등 종목을 관리해왔다.
투자자별로 분석한 결과 정치테마주 투자에 집중한 그룹 및 투자로 인한 손실을 본 그룹 모두 개인투자자 비율이 높았다. 대선 테마주 224개 종목 가운데 투자자의 대부분(96.6%)는 개인 투자자였으며, 평균 손실액은 계좌당 61만7000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8대 대선(70만9000원)과 비교 시 9만2000원가량 줄어든 수치다.
종목별로 분석한 결과 대선 정치테마주들은 대부분 중소형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자산총액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은 2710억원으로 일반 종목의 11.2%, 코스닥 시장은 879억원으로 일반 종목의 56.6%에 해당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대선의 경우 정치테마주의 주가 변동률이 25.0%로 2012년 대선 당시 62.2% 보다 대폭 축소됐다"라며 "정치테마주 종목 가운데 22개 종목을 이상급등 종목으로 지정하는 등 초기에 대응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당분간 정치테마주 모니터링을 지속할 계획이다. 현재 당국은 정치 테마주 관련 불공정 거래 개연성이 있는 48개 종목을 조사하고 있다. 48개 중 1개는 조치 완료했고, 5개는 조치 절차를 진행 중이며, 15개 종목은 조사 중이고 나머지 27개 종목도 신속히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