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50여명의 경제․사회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7년 경제키워드·기업환경 전망’을 조사해 얻은 답이다.
3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올해의 주요 대외리스크를 묻는 질문에 미국금리인상과 후폭풍(69.2%), 중국경기둔화(57.7%), 보호무역주의 확산(46.2%), 북한․IS 등 위협(15.4%) 순으로 꼽았다.
올해 미국 연준금리는 0.5%포인트 이상 인상되고(전체의 76%)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6.6%(2016년)에서 6% 초반대로 떨어질 것(88.5%)이라는 전망이 다수였다.
해외 경제전망은 미국, 동남아 경제만 ‘긍정적’이었고 중국, 중남미 등은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지난해와 비교한 올해의 국별 전망’은 미국(180), 동남아(124), 러시아(100), 일본(96), 중동(80), EU(72), 중남미(68), 중국(52) 순으로 집계됐다.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긍정적, 0에 가까울수록 부정적이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미국 트럼프닫기

전문가들은 기업이 생존모드를 택해야 하는 이유로 각종 불확실성 때문에 기업매출액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후퇴할 것(전체의 92.3%)이며, 기업을 바라보는 사회시각도 우호적이지 않을 것(84.6%)이라 말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도 지난해 보다 높을 것(73.1%)으로 전망됐다.
또한 전문가들은 한국경제의 올해 주요 사회이슈를 묻는 질문에 ‘사회역동성 저하(고령사회화)’, ‘갈등조정비용 증가’, ‘사회안전망 부족’ 등을 꼽았다. 송의영 서강대 교수는 “한국도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가 늘면서 성장이 지체되는 인구 오너스(Onus) 시대에 접어들었다”며 “이로 인해 구조적 소비부진으로 경기침체에 빠지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수저론 등 기득권에 대한 반감이 확산됨에 따라 사회통합이 약화되고 갈등조정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기득권에 입각한 사적이익 추구행위가 이해 관계자간의 갈등을 빚고,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경제성장을 저해한다는 얘기다. 실제로 한국의 사회갈등요인지수는 OECD 내 최고수준(4위)인 반면, 갈등관리지수는 최저수준(27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사회안전망 확충노력을 급선무로 꼽았다. 정혁 서울대 교수는 “노동시장 유연성 확대, 고용안전망 구축의 투트랙 복지구조를 완성해 산업구조조정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경제팀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과제를 묻는 설문에는 구조개혁 추진(46.2%)이 가장 많았고 산업구조조정(42.3%), 미래먹거리 발굴(15.4%), 민생안정(7.7%), 기업애로 해소(3.8%)가 뒤를 이었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