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모습
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15일 정례회의를 열고 이날(한국시간) 새벽 결정되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반영해 기준금리 결정에 나설 예정이다.
미국 연준(Fed)의 금리 인상은 거의 확실시 되는 상황이다. 6일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4.9%까지 반영했다.
미국 금리인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저금리 시대 마감을 의미하면서 글로벌 자금 흐름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국내 외국인 투자자금이 금리를 쫓아 빠져나가면서 금융·외환시장 충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외국인 채권투자자금 전망과 투자자금이 국내 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는 "미국 금리 정상화에 따라 우리나라의 금리·환율 상승 위험이 부각되면 평가손실을 우려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선제적인 채권 매도로 자금 유출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주열닫기

특히 대내적으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에 따른 정치적 리스크도 고려 요소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이같은 상황을 고려해 당초 이달 4∼7일 예정돼 있던 라오스 출장을 취소하고 한국은행 본관에서 정상적으로 근무하고 있다.
경기상황도 녹록하지 않다. 11월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에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5.8로 10월보다 6.1포인트 급락했다. 통계청의 지난 10월 제조업 평균가동률 지표도 70.3%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69.9%)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국은행은 이같은 대내·외 리스크 속에 통화정책 수행에 고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1300조원을 돌파한 가계 부채 문제를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뒤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 급증을 막기 위해 금리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금리 정책은 가계부채를 포함한 금융안정뿐 아니라 거시경제도 봐야 한다"며 "지금 완화정책을 유지하지만 금융안정에도 각별히 유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원·달러 환율 급등과 채권금리 오름세 대응으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조정뿐 아니라 공개시장 운영같은 정책수단에 무게를 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21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조2700억원 어치 국고채를 직접 매입했다. 또 한국은행은 12월 중 통화안정증권을 전월 대비 1조5000억원 축소한 8조8000억원 어치 발행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이 공개시장에서 통안증권 발행규모를 줄이면 채권시장에 발행물량이 축소돼 채권값이 상승(채권금리 하락)한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