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카드는 ‘디지털 서비스’란 관성적인 수식어나 구호가 아니라 고객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어야만 한다’라는 철학을 정립했다. 모바일에서 구현한 디지털 서비스의 산물이 바로 ‘락앤리밋’이다.
‘락앤리밋’은 고객이 현대카드 앱에서 신용카드 사용 조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다. 사용자 입장에서 경험하게 될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차원에서도, 복잡한 다기능을 모두 빼고 심플하고 직관적인 이해를 추구한 디지털 디자인을 반영했다. ‘락앤리밋’은 크게 ‘락(Lock)’과 ‘리밋(Limit)’ 두 가지 서비스로 구성된다. ‘락(Lock)’은 카드의 사용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로, 해외 온/오프라인 결제, 국내 온/오프라인 결제, 현금서비스 등을 클릭 한번으로 제한할 수 있어 안전한 카드 생활에 도움을 준다.
특히, ‘락(Lock)’서비스를 통해 해외 결제를 막아놓으면 POS 해킹이나 카드결제 시 복제를 통해 고객정보를 빼낸 다음, 해외 가맹점에서 부정결제를 시도하는 범죄에 대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카드 분실 시 간단한 앱 실행 만으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유용하다.
‘리밋(Limit)’은 과도한 카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금액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서비스로 1일 사용금액은 물론 1회 사용금액까지도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작년 12월에는 ‘락앤리밋’에 이어 ‘가상카드번호’ 서비스를 출시했다. ‘가상카드번호’ 서비스는 실제 카드 번호 대신 고객이 별도로 생성한 가상의 카드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로, 현대카드 앱에서 가상카드번호를 손쉽게 발급 받아 국내는 물론 해외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