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이명박 정부를 거치면서 이들 언론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그 수를 헤아리기조차 어렵다. 게다가 사적으로 인터넷 사이트나 블로그 등을 운영하는 개인도 다양한 뉴스를 다루면서 언론과 게시판의 구분도 애매해졌다.
지난해 하반기 정부가 온라인 언론사의 자격 요건을 강화해 올해 9월 시행 예정이지만, 큰 실효성은 없어 보인다. 이 방안이 1인 인터넷 매체 등을 정리하기 위한 수순이라지만, 빠져나갈 방법은 부지기수이기 때문이다.
이번 방안은 주요 기업들로 이뤄진 광고주 협회의 물밑 작업으로 탄생했다는 게 공공연한 업계 주장이다. 가뜩이나 부족한 홍보 예산이 1인 매체 등 온라인 언론사의 난무로 더욱 빠듯해져서다. 언론사 요건 강화를 하면 다소 정리되는 매체들이 발생해 홍보비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얄팍한 계산이 깔린 셈이다.
충분히 이해는 간다. 요즘처럼 어려운 때 기업들이 가장 먼저 줄이는 게 홍보 예산이다. 올해 대부분의 기업들이 아직 홍보비 책정도 못했으며, 이를 책정한 기업마저도 예산이 깍였다. 깍인 예산마저도 아직 집행을 못하고 중단된 상태다. 어려운 시기에 한 푼이라도 아껴 만일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통신 3사도 이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경기가 장기간 불투명한 상황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조치다.
다만, 최근 KT와 LG유플러스는 공동으로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합병을 반대하는 광고를 국내 주요 일간지 22개 1면 하단에 실었다. 서울 도심에 위치한 신문판매대에서 판매되지 않는 일간지와 주간지 등을 감안하면 30개 매체가 훌쩍 넘는다.
가독성이 뛰어난 신문 1면 하단 광고의 경우 광고비가 최소 몇백만원에서 최고 1∼2천만원을 호가한다. 양사가 이들 매체를 통한 합병 반대 광고에 최소 몇 억원을 지출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홍보비가 없어서 죽는다면서도 기업의 이권을 채우는 데는 몇억도 아깝지 않은 것이다.
사실 부문별한 언론사 난립으로 여론 형성과 시장 감시와 감독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선의의 중소 언론사들이 피해를 보고있다.
이들 선의의 언론사들도 이통3사에 손을 벌려보지만, 돌아오는 것은 ‘어려워서......’ ‘나중에......’라는 말 뿐이다.
홍보비가 없는데, 거액이 투입된 합병반대 광고를 낼 돈은 어디서 나왔을까?
자본주의는 시장경제 논리에 따른다. 시장 원칙에 따라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이 합병한다는데, 반대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에 반하는 일이 아닐까?
정수남 기자 perec@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