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에 비해 서울 아파트 열기는 뜨겁다./사진제공=GS건설
29일 법원경매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28일 현재 전국의 아파트 낙찰가율은 88.2%로 지난해 11월 93.3%에 비해 두달 연속 하락세다.
지난해 11월 이후 일반 거래시장의 매수세가 위축되고 가격이 약세로 돌아섰다. △가계부채관리방안 시행 △금리 인상 가능성 △공급과잉 논란 등으로 경매시장에서도 고가 낙찰 수요 줄어들었다.
지방 아파트 낙찰가율은 이달 현재 81.9%로 지난달 88.2%에 비해 6.3% 감소세다. 최근 지방의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경매 낙찰가격도 낮아진 것이 이유다.
지난해 11월까지 100%를 넘나들던 대구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해 12월 97.3%로 2015년 들어 처음 90%대로 떨어졌고 이달에도 94.4%로 내려왔다. 대전 광역시 낙찰가율도 지난달 89.9% 보다 낮은 85.8%를 기록했다.
경북의 아파트 낙찰가율은 70.5%까지 떨어지며 70%선을 위협하며 최근 두달 이상 아파트값이 하락장이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아파트의 낙찰가율이 지난해 12월 90.6% 보다 1.1% 하락한 89.5%를 기록하며 지난해 1월 88.4% 이후 처음 90%대 이하로 진입했다.
하지만 서울은 28일 현재 낙찰가율이 99%까지 오르며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지난 6일 청담동 시티아파트가 감정가의 242%인 38억여원에 팔리면서 전체 낙찰가율을 끌어올린 것이 요인으로 보인다.
경매 물건은 173건으로 지난달 235건에 비해 감소해 낙찰가율 역시 높아졌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서울은 아파트값이 아직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 낙찰가율이 떨어지지 않은 것 같다”며 “다만 2월 가계부채관리방안 시행으로 주택시장이 얼어붙는다면 경매 시장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