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반도체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종합반도체 업체 톱10에서 삼성전자는 2015년 잠정수입(매출) 416억 달러로 인텔(503억 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반도체 업계는 종합반도체, 팹리스, 그리고 칩 제조만 전문으로 하는 파운드리(Foundry)로 구분된다. 종합반도체 기업은 자사 로고를 붙인 반도체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을 의미한다.삼성전자는 올해 반도체 부문 매출액이 400억 달러(약 47조5천160억원)를 사상 처음으로 넘섰다. 올해는 그러나 인텔 매출이 2% 줄고, 삼성전자 매출은 10% 늘었기 때문에 매출 격차가 87억 달러 선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지난해 인텔과 157억 달러의 매출 격차가 있었다.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는 169억 달러로 세계 3위에 올라섰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3위 마이크론(148억 달러)을 4위로 밀어냈다. SK하이닉스는 2011년만 해도 7위권이었지만 2013년 5위로 상승한 후 지난해 마이크론, 올해 퀄컴을 각각 이기고 3위까지 성장하게 됐다.
5~10위는 TI, NXP/프리스케일, 도시바, 인피니온, ST, 소니 순이다.
이번 순위 산정은 올해 진행된 반도체 업계의 인수합병(M&A) 이후 매겨겼다. 글로벌 반도체업계는 올해 상반기에만 합병가치가 726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대규모 M&A가 잇달아 이뤄졌다.
반도체 생산설비를 갖추지 않고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Fabless) 업체 순위에는 톱 10에 한국 업체는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팹리스 톱 10 순위에서는 퀄컴/CSR이 1위에 올랐고 아바고/브로드컴이 2위를 차지했다. 지난 5월 HP에서 분사된 싱가포르의 무선통신·데이터저장용 반도체 전문기업 아바고는 미국 반도체회사 브로드컴을 370억 달러에 인수하며 반도체 업계 사상 최고액 M&A 기록을 쓴 바 있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