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2015 국정감사 정책자료’를 통해 카드론의 증가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100조원이 넘던 카드대출 실적은 2012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하락해 작년에는 93조원대로 감소됐지만 카드론 비중은 오히려 증가세이기 때문.
2011년 2분기 정부의 외형확대 억제책 이후 현금서비스 비중은 계속 낮아지는 반면 2011년 23.2%였던 카드론의 비중은 2015년 1분기 34.7%로 상승기조를 지속 중이다.
이는 카드사들이 가맹점 수수료 인하에 대한 수익보전을 위해 영업전략을 카드론에 집중하고 있어서라는 판단이다. 카드론은 잠재적 부실위험이 있는 상품으로 규모를 키워 나갈수록 카드사의 재무건전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입법조사처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과도하게 카드론을 유도하는지에 대한 여부와 카드사들의 자산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카드론 증가는 현금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리수준이 낮은 카드론을 찾는 경향이 높아지고 카드사들의 프로모션 강화에 따른 결과”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카드업계에서는 가계부채 대책과 맞물려 자칫 카드론이 빌미가 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러나 장기대출인 카드론이 오히려 건전성과 상환 가능성에는 더 좋다는 입장이다.
단기대출인 현금서비스와 달리 최장 36개월의 만기를 가진 카드론은 고객입장에선 상환시기가 조급하지 않다. 또 카드사 자금조달 측면으로는 더 싸게 장기로 조달해 운용하기가 수월하다.
실제로 카드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은 2012년 말 2.82%에서 2014년 말 2.54%로 개선되는 중이다. 카드사의 연체관리 강화와 함께 장기대출인 카드론의 비중이 늘어난 점도 연체율 개선에 일조했다는 설명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대출에서 현금서비스 수요가 상당부분 카드론으로 편입됐는데 건전성 관리측면에서는 장기대출인 카드론이 훨씬 더 유리하다”며 “국감 주제로 도마 위에 오를 지는 지켜봐야할 일”이라고 말했다.
원충희 기자 w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