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수단계 보완을 위해 개설된 코넥스(KONEX)마저 아직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 M&A 활성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3분기까지 코스닥에 신규 상장된 19개 업체 중 VC의 투자를 받은 업체는 8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11개사)에 비해 상당히 줄었는데 신규 IPO(상장)가 그만큼 쉽지 않다는 뜻이다.
9월말 기준으로 VC의 회수유형은 장외매각 및 상환이 55.6%로 가장 높으며 IPO를 통한 회수는 22.4%, 프로젝트투자 회수는 2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0%대로 낮아진 장외매각이 다시 50%대로 높아졌으며 M&A는 0.9%에 불과해 여전히 빈약한 형편이다.
장외매각 등은 주로 중·후기기업들이 쓰는 회수방식이며 초기기업(업력 3년 이하)은 주로 IPO에서 출구를 찾는다. 따라서 IPO가 위축된다는 것은 초기기업의 회수리스크가 그만큼 커진다는 의미다.
◇ 코넥스 상장기준 완화해야
이같은 국내 현황과는 달리 미국의 경우 올해 9월까지 건수기준으로 79.5%가 M&A, 20.5%는 IPO를 통해 회수됐다. 금액으로도 M&A가 63.6%, IPO는 36.4%라 증시와 인수합병을 통한 회수가 상당히 수월하다.
국내에서도 이처럼 중간회수시장을 키우기 위해 새로 코넥스를 설립했다. 하지만 이곳도 제 역할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많은 VC들이 회수방식으로 상환전환우선주를 활용하는데 코넥스에는 상장이 허용되지 않아서다.
VC업계는 한국거래소가 코스피, 코스닥에 이어 코넥스도 운영하면서 각 시장의 목적과 운영기준이 모호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넥스는 코스닥 상장요건에 미달되는 초기기업들의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인 만큼 상장 기준완화와 관련 세제혜택 등 활성화의 기본 틀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해외VC가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M&A도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국내에서 벤처기업들의 M&A가 부진한 이유는 기업매각에 대한 과도한 세제부담과 기업규모 확장을 저해하는 법·제도 등이 문제로 지목됐다.
벤처캐피탈협회 관계자는 “M&A시장을 활성화하고 벤처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세제부담 완화 및 세제 인센티브 강구와 대형자본의 M&A시장 진입 촉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IPO 보완기능도 활성화
벤처생태계의 선순환구조인 ‘창업-성장-(투자)회수-재투자 및 재도전’에서 회수시장은 재투자와 재창업을 통한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고리가 된다. 따라서 회수시장 활성화는 그 어떤 부분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회수시장 활성화와 관련해 업계에서 논의되는 내용으로는 코스닥이 ‘기술주를 위한 증권시장’으로서 성장유망기업의 특성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관리체계를 확립하는 방안이 있다. 미국은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이 상호 경쟁구도를 유지해 발전해 왔으나 국내는 거래소가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등 유가증권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우회상장 및 SPAC(특수인수목적회사)이 기존 IPO를 보완해주는 기능이 부각될 수 있도록 활성화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아울러 건전한 M&A 활성화 여건조성 및 세컨더리펀드에 대한 정책자금 배정 확대, 회사가 청산 혹은 인수될 경우 매각대금에서 투자자들의 투자금을 우선 분배하는 준청산제도 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원충희 기자 w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