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업부진 지속… 2014년 펀드·할부금융 등 취급 가능
저축은행들의 영업부진은 2013년에도 지속됐다. 작년 3분기 저축은행의 당기손실은 960억원으로 전년동기(△3236억원) 대비 큰 폭으로 축소됐지만, 아직 적자 터널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황이다. 자산건전성도 악화됐다. 연체율은 23.0%로 연체금액(3629억원) 증가 등으로 작년 6월(21.4%) 대비 1.6%p 상승했다. 부동산 경기침체 지속으로 건설업(3.7%p), 부동산업(2.5%p)이 크게 올라갔으며, 개인 신용대출 연체율도 2.5%p 상향됐다. 이 외에도 한울·해솔·스마일저축은행의 퇴출이 이어졌다. 가교저축은행 또한 지난달 19일 인수의향서 접수를 마감해 이달에 우선협상 대상자가 선정될 예정이다.
저축은행들의 부진이 이어짐에 따라 금융당국은 작년 9월에 ‘저축은행 발전방안’을 발표해 저축은행들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토록 할 계획이다. 지역금융의 수요 충족을 위한 여건 조성 방향을 정책을 전환한다는 얘기다.
특히 펀드판매, 할부금융 취급이 가능해 주목된다. 발전방안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올해 초부터 펀드 및 할부금융 사업 영위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금융위원회는 작년 11월 ‘상호저축은행법 감독규정 일부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BIS비율 2회계연도 연속 10% 이상, ‘기관경고’ 이상 전력이 없는 저축은행들은 오는 2월부터 할부금융을 취급할 수 있다. 단, 할부금융은 신용공여 총액의 25%를 초과하지 못한다. 펀드 판매의 경우 불완전판매가 최소화되도록 선별기준을 마련해 제한적으로 허용할 방침이다.
“할부금융 및 펀드 판매가 올해부터 허용이 되지만 저축은행들의 현황을 보면 잘 이뤄질지 의문”이라며 “펀드판매를 선별적으로 허용하는 이유로 불완전판매 최소화를 내세웠듯이 현재 저축은행들은 직원 교육 및 관련 사업분야 교육 등 인프라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동부저축은행 관계자는 “오는 3월에 동산담보대출이 취급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상품 개발이 가능해지는 상황이 도래했다”며 “그러나 상품 취급과 영업력은 별개의 문제로 어떤 방식으로 차별화된 상품을 운영하는냐가 앞으로의 과제”라고 말했다.
◇ 10~20%대 중금리 대출 개발 추진… 자체 영업 강화 및 확대 필요
새로운 사업분야 확대 외에도 저축은행들은 올해 중금리 대출 개발 등이 화두가 될 전망이다. 10%대 후반 및 20%대 초반의 대출상품을 저축은행에서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는 얘기다. 이는 현재 저축은행들이 고금리 대출을 영위하고 있다는 지적에서 출발한다. 저축은행 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30%대 고금리 대출비중이 전체 대출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곳은 9곳에 달하고 있다.
저축은행들이 대부업계 못지 않은 고금리 대출을 실시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작년 11월 ‘금융업 경쟁력 제고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방안을 보면 대출금리체계 합리화 및 원가절감 노력을 통해 중금리대 개인 신용대출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은행권과 대부업계 사이의 금리대인 10~20%대 초반의 개인신용대출 공급을 활성화시키겠다는 것.
이를 위해 금융위는 저축은행 대출금리체계 모범규준을 마련하고, 대출직거래 장터 및 채권추심회사 설립 등 중앙회 공동사업을 통해 원가 절감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저축은행중앙회의 표준 신용평가시스템(이하 CSS) 및 자체 CSS를 지속 개선하고. 대부업체 신용정보 공유를 확대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할 계획이다. 자체 영업 강화를 위한 저축은행들의 노력도 올해 본격화될 전망이다. 올해 방카슈랑스 등 Fee 사업에 역량을 강화시키겠다는 경영계획이 발표되고 있다.
아주저축은행은 올해 방카슈랑스를 통한 Fee 사업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농·신협 및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이 예금 고객을 통해 자체 보험을 판매하듯이 아주저축은행도 방카슈랑스를 활성화 시킨다는 것. 오화경닫기

이어 “저축은행들은 그간 방카슈랑스가 허용됐으나 사실상 취급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화재·상해·자동차보험 등 상품구조가 단순한 상품의 경우 가능성이 보이는 가운데 저축은행중앙회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실시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 대손충당금 적립기준 강화 속, 제도 개선 보완 등 목소리도 지속
한편, 작년 하반기부터 저축은행 업계 화두였던 규제 개선에 대한 논의 역시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2월까지 약 2조원의 PF대출이 캠코로부터 돌아오고, 리스크관리 능력에 대한 금융당국의 눈길이 매섭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신용평가능력 제고에는 동의하지만 과도한 충당금 적립은 과하다고 평가한다. 차주들과 저축은행들의 부담이 동시에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차주들이 압류·가압류 조치를 받을 경우 관련 조치에 따른 속성 판단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현황을 고려하지 않은 충당금 적립 강화 등이 지속된다면 저축은행과 차주들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