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부동산시장의 경기 침체로 부동산 PF 시장이 흔들리자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모두 큰 폭 상승했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불신으로 저축은행 고객들이 예금인출을 무더기로 하는 날에는 제2의 영업정지 사태가 일어나게 된다는 건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이 같은 최악의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 밖에도 신용카드 카드론 이용자의 50%가 넘는 비율이 중복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추후 타 금융권으로까지 미칠 동반부실 등의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저축은행 불신으로 거액예금 인출되면 대책없이 와르르
최근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전보고서에 따르면 경영건전성 악화로 인한 저축은행들의 위기가 예상된다는 평가를 엿볼 수 있다. 부실 저축은행 영업조치 명령에 이은 부동산 시장의 위기는 2011년 6월 말 현재 105개 저축은행의 총 자산은 77.4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0조원으로 10.4% 감소한 결과를 양상 하기에 이르렀다.
연체율은 2010년말 18.1%에서 2011년 6월말 25.1%로 상승했는데 이는 부동산PF 대출채권 부실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BIS자기자본비율은 105개 저축은행 중 1차 영업정지 저축은행을 제외했을 경우 6.6%, 1,2차 영업정지 저축은행을 모두 제외할 경우 8.7%였다. 위와 같은 영업환경 악화에 따른 추가적인 부실사태 재발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일이다.
감독당국은 1차 영업정지에도 불구하고 저축은행에 대한 불신이 가라앉을 줄 모르자 7~8월중 85개 저축은행에 대해 전면적인 경영진단을 실시해 BIS비율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영업정지 저축은행뿐 아니라 나머지 저축은행의 부실이 상당부분 현재화 됐으나 대손충당금 적립은 충분하지 않은 상태다.
또한 환매 또는 사후정산 조건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한 부동산PF 대출채권(원금기준 7조 4000억원)에 대해서도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하기 때문에 수익성 개선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부동산경기 침체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 정상영업중인 91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대출의 부실화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비록 91개 저축은행의 총대출 대비 부동산PF 대출 비중이 2자 영업정지 저축은행보다 하락추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어 한은은 “경영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9월 18일 감독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요구 및 적기시정조치 유예를 받은 6개 저축은행이 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경우 추가적인 영업정지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렇게 될 경우 저축은행업계 전반에 대한 불신의 확산으로 예수금 인출사태가 거액예금을 중심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 밖에도 가계신용대출이 급증하는 반면에 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은 미흡하다는 부분은 새로운 부실요인이 될 수 있다. 결국 저축은행의 경영실적 개선의 지연으로 인한 업계 전반에 대한 불신의 지속은 예수금 유치나 후순위채 발행 등의 자금조달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한은은 “저축은행 스스로가 자본 확충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정책 당국도 부실징후 저축은행에 대해 과감한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 복수카드론 증가로 부실화 위험 커져
카드사 역시 마찬가지다. 하나SK카드, KB국민카드 출범이후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한 카드사들의 경쟁으로 외형확대가 빠르게 진행됐다. 올해 들어 마케팅비용이 전년과 대비해 30.3% 증가했고 카드발급수도 2010년 1.2억매로 집계됐다. 이는 2002년 말 1.0억매를 기록한 카드사태 직전 수준보다 높은 수치다.
이렇게 카드사의 외형이 급속도로 부풀어짐에 따라 위험률 역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에 따르면 다중채무자와 복수카드론 이용자가 늘어 카드사 대출 자산의 부실화 위험이 우려된다고 전하고 있다. 다중채무자 수는 2009년말 160만명에서 2011년 3월말 180만명으로 13.7%가 증가했다. 복수카드론 역시 같은 기간 중 20만명 증가했으며 2011년 말 카드론 이용자의 52.9%가 은행을 포함한 타 금융권, 캐피탈, 대부업체, 저축은행 등 여러 곳에서 신용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카드사의 카드론 부실이 타 금융권의 신용대출 동반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자금조달 측면에서 카드사의 유동성 위험을 보면 6월말 기준으로 카드채 73%, ABS 15%, 차입금 12% 등으로 자금을 조달 중이다. 이에 대해 한은은 “시장성 수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금융시장이 막혀버리게 되면 유동성의 위험이 다분하다”고 밝혔다. 금액가중평균만기가 2008년 2.3년에서 2011년 상반기 3.7년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 2011년 6월 말 통계해 본 결과 보유하고 있는 카드채중 52%인 18조원이 2011년 하반기~2012년도에 만기도래 해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한은은 최근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세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카드채 차환발생시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제언하기도.
카드사가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개별카드사, 카드채 매입 및 대출해 준 채권금융기관까지 도미노 현상처럼 줄줄이 위기가 닥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경기가 둔화될 때 카드사에 자금을 공급하는 은행이나 자산운용사 등이 디레버리징에 나설 경우 시장성 수신에 대한 의존도가 좋은 카드사의 유동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며 신용카드업의 경우 경기순응성이 높은 산업인 만큼 카드사들은 경기순환 과정에서 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임건미 기자 kmlim@fntimes.com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