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불확실성 고조, 금리인상 2분기 이후 전망”

배동호

webmaster@

기사입력 : 2010-02-07 21:01

메리츠증권 조성준 이코노미스트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불확실성 고조, 금리인상 2분기 이후 전망”
중국의 오는 5~6월경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인도 등 이머징마켓의 금리인상 압력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세계 금융시장에 유럽발 국채리스크가 고조되면서 글로벌 자금의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 영향으로 달러 캐리트레이드 자금의 청산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조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최근 금리인상에 대한 부담요인들이 부각되고 있다.

메리츠증권 조성준 이코노미스트는 “이론적 정책금리와 실질 정책금리 사이의 괴리율이 3.5%”라며 “만일 금리인상이 단행된다면 개인 및 기업의 이자부담이 가중돼 경기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무엇보다 경기선행지수의 하락과 침체된 고용시장 등이 금리인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는 “경기싸이클이 단기 정점에 도달한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한다면 경기진폭을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에 당분간은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며 “지난해 12월 신규고용자 수가 1만6000명 감소해 2개월째 악화되고 있는 점도 부담”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긴축전환이 우리나라에도 인상 명분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는 오히려 자산시장 조정과 원자재 가격 하락 등 물가상승 압력을 낮춰 금리인상의 시점을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도와 노르웨이, 호주, 인도네시아 등도 오히려 중국의 긴축 파장 확대에 대한 추이를 살펴보며 소극적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긴축정책에 대한 우려감과 고조되고 있는 미국과의 G2 리스크 등 글로벌 긴축동조화는 어려운 모습을 보이고 있어 국내 금리인상 시점도 2분기 이후가 될 것이란 관측이 무게를 얻고 있다.

여기에 국제 원유가격 상승에 따른 연초 물가상승률 등이 금리인상의 부담 요인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란 설명이다.

조 이코노미스트는 “1월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로 나타났다”며 “이는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것으로 전달에 비해서는 0.4% 증가해 2개월 연속 0.4%의 상승세가 유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농산물과 석유류를 빼고 본 핵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대비 2.1% 증가에 그쳐 최근 물가상승의 압력은 국제유가 상승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물가상승의 다른 배경으로는 지난해 낮은 물가상승률에 따른 기저효과에서도 기인한 것으로 관측된다.

조 이코노미스트는 “당분간 기저효과에 따른 물가상승 추세는 불가피하다”며 “이런 가운데 한은의 금리정책에 이같은 물가상승이 어떻게 반영되느냐가 문제”라고 말했다.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대비 6.0% 성장하며 예상 잠재 GDP인 3.4%를 웃돌아 펀더멘탈적 물가상승 압력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는 것.

그는 “이같은 물가상승 압력과 잠재 GDP를 웃도는 경제성장률에 따라 이론 정책금리와 실질 정책금리의 차이가 3.6%로 벌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한 차례 정책금리를 인상한다 해도 경기부양 효과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불확실한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인상시점이 뒤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아울러 금리인상이 기업과 개인들이 부담해야 하는 이자규모의 확대도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1월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 546조7076억원으로 전월대비 4조7073억원 늘어났다. 11월 평균 가계 대출금리 6.0%를 감안할 때 이자비용은 32조8024억원에 달한다.

이에 반해 지난해 3분기 가계소득은 전년대비 1.4% 감소하고, 소비가 1.4% 증가해 과잉소비율은 2.9%로 확대됐다. 고용마저 위축된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될 경우 개인의 재정건전성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기업 역시 이자보상배율이 1 이하인 기업비율이 지난해 1분기 44.7%로 높아졌고, 지난해 3분기에는 37.4%로 낮아졌다.

그러나 최근 유사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의 이자비용 발생 부채규모는 지난해 3분기 485.6조원으로 전년대비 11.1% 늘었다. 이자부담이 점차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조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기업대출 금리인 5.79%를 감안할 때 이자비용은 대략 28조원에 달하고 대출 금리가 1% 상승할 경우 추가적인 이자부담은 4조8558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