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소문만 무성했던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적극 논의되고 있고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 금융공기업 매각 등 금융산업 재편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금융재편이 외환위기 이후 10년만에 찾아온 제 2차 금융빅뱅 대전으로 꼽히는 만큼 관심은 뜨거워지고 있다.
◇ 내년 최대 키워드는 ‘M&A’
최근 외환은행 및 우리은행 지분매각이 점차 본격화되면서 인수합병 시나리오가 내년 금융권의 최대 화두로 꼽히고 있다.
이들 은행을 두고 국내 은행과의 합병 또는 기타 투자자의 인수 등 여러가지 가능성이 열려있지만 국내 은행들이 적극적인 인수의사를 보이고 있는 만큼 국내 은행간의 합병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내년 외환은행 매각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후 우리금융에 대한 매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인수를 위한 금융지주사들의 경쟁은 치열할 전망이다.
내년에 은행 첫 매각 대상으로 외환은행이 지목되고 있다.
외환은행은 양호한 자산건전성 및 수익성, 해외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은행들에게는 매력적인 인수 대상이다.
현재 하나, KB, 산은지주가 외환은행 인수에 관심을 표명한 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KB금융을 유력한 후보로 꼽고 있다.
KB금융이 외환은행 인수에 성공할 경우 대형화를 통한 선도은행 입지 고수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게 된다.
하나금융은 규모의 경제 실현, 해외영업 경쟁력강화, 해외진출을 위한 기반 구축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산은지주는 기업금융관련 노하우를 통해 투자은행(IB)으로서 성장하고자 함에 따라 이를 위해서는 소매금융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자금조달원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은행 관계자는 “내년에는 M&A의 해로 이미 금융권 새판짜기의 불은 당겨진 셈”이라며 “은행들이 잇따라 M&A 의지를 내비치면서 내년 국내에 은행권의 새로운 리더가 누가 될 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 IMF이후 은행 새판짜기 본격화
국내 은행권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은행권 새판짜기가 시작됐다.
외환위기시 부실은행의 구조조정 차원에서 정부의 주도 하에 은행간 합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은행들은 대형화되기 시작했고 시장지배력 확대를 위한 경쟁도 점차 가열되어 왔다.
우리나라 금융산업은 지난 1997년 금융 외환위기 이후 2002년 말까지 159조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대규모의 금융구조조정을 거치면서 크게 변모하였다.
실제로 합병은 실질적으로 은행들에게 많은 플러스 효과를 가져다 준다.
박일문 한국신용평가 기업/금융평가본부 연구위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간의 합병을 신용도 관점에서 보면 피인수은행의 지분을 지나치게 높은 가격에 매입함으로써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수은행의 신용도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인식된다고 분석했다.
또 동일 영업시장 내에 있는 은행의 합병은 중복투자가 줄면서 관련 인건비 및 영업시설투자를 축소할 수 있어 영업 수익성이 향상되고 시장지배력 확대에 따른 영업수익 상승효과를 가져다 준다고 평가했다.
합병을 통해 더 많은 영업점을 확보함으로써 해당은행의 인지도는 더욱 높아지고 접근성이 용이해지는 등 수신규모가 확대되기 때문이다. 수신규모가 확대되면 그만큼 자산규모도 확대되어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거대은행이 위기에 봉착하면 금융시스템 전반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부분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한 점도 존재한다. 과거 국내 은행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조직으로 인식된 만큼 조직원과의 합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운영시스템 및 영업특성에 있어 이질적인 조직이 합병할 경우, 경영진의 리스크 관리능력은 신용도 평가에 있어 더욱 중요해진다”며 “그동안 합병으로 대형화된 미국 및 유럽금융산업은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으면서 경영진 리스크 관리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됐다”고 평가했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