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침체와 이로 인해 생명보험사들의 영업이 부진에 빠진 가운데 저가형 장기간병보험 개발이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생·손보협회, 각 보험사들이 공동으로 보험산업 중장기 혁신방안 공동 태스크포스(TF)팀을 2월에 구성해 중장기 발전방향을 논의했다.
아직까지 중장기 혁신방안이 발표된 것은 아니지만 2005년부터 도입이 추진되어왔던 저가형 장기간병보험 개발이 이번 혁신방안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은 지난 2005년 11월부터 비교적 보험료가 높은 장기보험의 보험료를 낮춘 상품을 개발, 사회안전망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를 밝혔었다.
당시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이 직접 저가형 장기간병보험 개발의 필요성을 이야기했다.
이로 인해 2006년 업계와 협의를 진행했지만 업계의 반발로 이렇다 할 결과물을 내놓고 있지 못한 상태다.
그러나 2009년에 들어서면서 중장기 발전방안을 통해 다시 저가형 장기간병보험도입이 추진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생보업계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먼저 해약환급금이나 사망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당연히 고객들의 가입니즈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 판매가 부진할 가능성이 크다.
또 현재 업계가 판매중인 장기간병보험은 높은 보험료와 보험금 지급절차상의 까다로움 등의 문제로 몇 몇 생보사를 제외하곤 판매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일부 생보사들이 특약 등을 통해 장기간병기능을 부가하고 있어 상품의 차별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것도 걸림돌이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장기간병보험을 저가형으로 개발할 경우 보장 폭이 줄어들게 돼 상품성이 떨어지고 다른 상품과의 차별성도 줄어들게 돼 고객니즈에 부합할지 의문”이라며 “결국 정책차원에서 지원을 해야 하는데 보험료 소득공제 또는 기업이 가입할 경우 손비인정, 법인세 대상 제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되고 있는 경기침체로 신규가입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판매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저가형 장기간병보험 상품을 개발하는 것 자체도 부담이라는 것.
이같은 상황에 따라 생보업계는 당분간 저가형 장기간병보험 판매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재호 기자 ha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