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즉 이날 행사를 통해 거대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글로벌 투자환경 속에서 새롭게 제시될 투자가능성을 점검해보고 시장 흐름을 선도할 성공적인 투자 전략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진 것.
먼저 미래에셋증권 글로벌 리서치센터 아제이 카푸(Ajay Kapur) 수석 투자전략가는 오프닝 연설을 통해 "사상초유의 글로벌 정책 공조화가 실현되고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 탄생하는 등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는 빠른 속도로 변모해 가고 있다" 며 "디플레이션 압력과 달러 강세, 미국의 패권주의 및 국제무역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이슈들 또한 새로운 투자환경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고 전했다.
특히 금융시장 규제와 공공부문 주도의 성장환경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며 미국 패권주의의 약화에 따른 다극체제의 본격화, 세계 경제 성장에서의 이머징 마켓 소비자들의 역할 재부상 가능성, 인프라 수요 증가 등을 예상하고 글로벌 밸류에이션 저하와 공공부문 정책 효과에 따라 가치주 중심 투자가 매우 매력적 투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세계100대 헤지펀드 중 60곳에 대한 투자자문을 수행하고 있는 세계적 권위의 투자리서치기관 게이브칼의 루이 빈슨(Louis-Vincent) CEO는 초청연설에서 "글로벌 시장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상태이고 자산가격의 무차별적인 하락이 야기되었으나 글로벌 공조화를 비롯한 다양한 개입정책으로 유동성 압박이 해소될 것" 이라고 말했다.
또한 "선진국 시장에서는 유로지역 대비 미국과 영국, 일본의 강세가 기대되며, 이머징시장에서는 아시아와 일부 남아메리카 지역이 중동이나 동유럽 지역을 앞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의 시장상황에 대해 12개월 이상을 내다보는 장기적 관점에서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피력했다.
한편 미래에셋증권은 향후에도 홍콩에 위치한 글로벌리서치센터와 코리아리서치센터의 공조를 통해 세계금융시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투자자들에게 올바른 투자방향을 제시해나갈 계획이다.
김경아 기자 ka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