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만난 지방 소형저축은행장은 지방에서 경쟁력을 살릴 수 있는 방안으로 오너인 은행장들이 서로 조금씩 양보해 3~4곳 이상의 저축은행을 통합하는 것이 생존방법이 될 것이라고 제안한 적이 있다.
최근 저축은행들은 대형화로 규모의 경쟁을 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자산은 60조원을 돌파하고 있으며 이를 이끌고 있는 곳은 전체 108개 중 자산 1조원이 넘는 17개 대형저축은행들이다.
이들 대형저축은행들은 규모에 맞게 나름대로 수익원을 찾아가고 있으며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반면 경영환경이 열악한 중소형저축은행의 경우 양극화가 심화돼 올 6월말 결산에 적자로 돌아서는 곳이 대부분이라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한 회계법인 임원은 “지방 중소형 저축은행들이 경영환경이 악화되면서 매각을 하려고 M&A시장에 나오는 물건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하지만 규모가 작고 지역 환경의 수익성이 떨어져 물건을 보려고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같은 추세이지만 서민금융시장에서 저축은행은 포화상태이며 더욱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방법은 경영환경이 악화된 지방 소형저축은행간 통폐합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지방의 소형저축은행들간에 서로 뭉치면 자연스럽게 지점이 확대가 되고 규모도 커지기 때문에 신뢰성 확대와 영업활성화를 추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일본의 서민금융기관인 지역은행과 지방은행도 수익원확보를 위해 타지역으로 무조건적인 지점 확대보다 이같은 통폐합이 수익성 확대에 더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소형은행간 통폐합은 신용금고시절 강원도 도민저축은행과 충북 하나로저축은행 등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모범사례로 나타나고 있다.
지방의 소형저축은행들은 지역밀착 경영을 통해 서민금융기관으로 역할과 기능을 해왔다. 앞으로 서민들에게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고 중소형 저축은행의 역할과 기능은 더욱 절실해질 것이다. 정책적으로도 지역밀착형 중소형저축은행이 생존할 수 있는 지원책도 뒤따를 것이다. 이제 소형저축은행들도 자체적으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동일한 지역의 저축은행간 통폐합을 적극 검토해볼 시점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