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용보증기금은 당초 차세대시스템 가동 예정일을 내년 1월 3일로 정했으나 3차 테스트까지 진행한 현재 시스템이 불안정 해 보다 신중하게 접근하기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
◇ 가동 일정 연기되나 = 빅뱅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신용보증기금 차세대시스템은 대부분의 개발이 완료된 상태다. 그러나 3회에 걸쳐 진행된 테스트 결과 보완해야 할 부분들이 많이 지적됐다.
신용보증기금은 보완돼야 할 부분에 대해 데이터 운영 부문과 입력, 결과에 대한 것 등 품질 부분이 아직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속도에 있어서도 기존 시스템보다 앞서지 못한 상황으로 테스트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는데 굳이 무리하게 시스템 가동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신용보증기금의 내부 판단이다.
이에 대해 신용보증기금 한 관계자는 “신용보증기금 업무가 특수해 개발자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며 “한국IBM도 이부분에 있어 미흡했다”고 말했다.
향후 신용보증기금은 한국IBM 등과 협의를 통해 정확한 재가동 일정을 확정지어 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향후 시스템 보완과 테스트 등을 고려할 경우 3개월 정도는 추가 소요될 것으로 관련업계는 보고 있다.
◇ IBM 패널티 부과되나 = 차세대시스템 가동이 연기될 경우 계약서상에 명시된 페널티 부과에 대해 관계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대한생명이 차세대시스템인 NK21 구축 관련해 구축 지연에 따른 지체보상금을 주사업자인 한국HP에 요구한 바 있다.
반면 기업은행은 차세대시스템을 당초 보다 8개월 늦어 가동했지만 주6일제 근무에서 주5일제로의 근무환경 변화, 추가개발 요구 등의 이유로 상쇄 처리돼 주사업자에게 지체보상금을 요구하지 않았다.
현재 신용보증기금은 프로젝트 진행 과제를 잘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당초 계약상의 패널티를 부과하거나 그에 적당한 결과를 요구할 방침이다. 그러나 신용보증기금이 직접적으로 한국IBM에 지체보상금을 요구하기 보다는 재가동 시점에 특정 수준의 결과를 요구할 것이라는 예측이 높다.
한국IBM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아직은 가변적인 요소가 많아 뭐라고 말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고 말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며 “이런 이유로 지체보상요구는 대부분 법정까지 가는 상황이 종종 발생돼 그 전에 해결하는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실제 작년에 시스템을 가동한 대한생명과 한국HP가 진행하고 있는 지체보상금 법정 소송은 아직까지 결정이 나지 않은 상태다.
◇ 차세대시스템 구축 내용은 = 지난해 7월 한국IBM이 LG CNS, 삼성SDS, 현대정보기술과 경쟁해 프로젝트를 수주, 시작에 들어갔다. 이 프로젝트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업무시스템을 웹 기반으로 전환하고 EDW(전사데이터웨어하우스) 도입을 통해 정보계 시스템 재구축, SSO(싱글사인온) 기반의 기업정보포털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