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 연말까지 벤처 살리기를 위한 지원책 마련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들의 신성장 동력 개발과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목표로 각종 금융·세제를 비롯한 다각적 방안을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지난 8일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 최홍건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위원장, 김성진 중소기업청장 등 정부 관계부처 장관과 장홍순 벤처기업협회장, 허노중 코스닥위원회 위원장, 벤처기업 CEO 20여명과 함께 ‘벤처업계 오찬 간담회’를 갖고 최근 벤처업계의 현황과 활성화 대책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헌재 부총리는 “과거 일부 문제 있는 벤처기업들 때문에 옥석이 다같이 버렸다”며 “다시 벤처를 살리려고 하지만 이는 마치 장마철에 흠뻑 젖은 나무에 불을 지피는 것과 같지만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간담회가 끝난 뒤 “내년 1년은 벤처기업이 다시 뛰도록 하는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며 “금융·세제부문의 지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연내 테스크포스(TF)팀을 가동하고 연말까지는 벤처업계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미국의 경우 기업들의 일자리는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의 일자리는 증가했다”며 “우리나라도 대기업들의 일자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적은 만큼 내년 40만개 일자리 창출에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석중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은 “실무적 차원에서 이미 벤처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왔고 과거 정책에 대한 검토를 진행중”이라며 “이날 벤처기업 대표들이 건의한 내용중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기업·공공기관 거래시 불공정관행 타파’, ‘실패한 벤처인들이 제기할 수 있는 환경마련’ 등이 향후 정부의 지원방안에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간담회에서는 업계 관계자들의 코스닥시장의 활성화와 연기금 주식투자 활성화, 건전한 벤처기업의 회상지원 등에 대한 건의도 쏟아졌다.
장홍순 벤처기업회장은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경상이익·자기자본수익률 등 진입요건의 완화와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확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 간 공정거래제도 확립을 통한 건전한 벤처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불공정거래행위를 제도적으로 금지하고 재고부담 증가에 따른 책임분담제도 도입 필요성도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참석자인 이영남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은 “벤처기업들이 무조건 정부의 지원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과 시장을 가질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종합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며 “최근 과거 벤처의 안좋은 인식에서 벗어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가진 기업들은 우리나라 경제의 활력소라는 생각이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활성화가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닐 듯”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통합거래소 출범을 앞두고 코스닥시장의 위축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한 참석자는 “중소 벤처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코스닥시장이 활성화돼야 한다”며 “통합거래소가 출범하더라도 코스닥시장 고유의 특성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벤처업계는 △코스닥시장 활성화 △공정거래제도 확립 △벤처 패자부활 기반 마련 △인수합병(M&A)시장 활성화 △벤처캐피탈 활성화 △SW산업 활성화 △벤처기업특별조치법 종료 재검토 △부품소재산업 활성화 △DMB서비스 조기 상용화 △벤처의 자율역량 강화 등 ‘벤처 재도약 10대 어젠다’를 정부에 제안했다.
김민정 기자 minj7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