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카드사 부실 및 카드채 문제가 불거지자 이에 대한 문의가 부쩍 늘었기 때문이다.
카드발 금융대란설이 나돌만큼 신용카드사에 대한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이보우 상무는 현재 카드사들이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하고 있다고 밝힌다.
“카드 대란설이라는 폭풍의 눈, 그 가운데에 카드사가 있습니다. 간접이 아닌 직접 주체입니다. 신용대란, 유동성의 문제는 곧 존립의 문제이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카드사가 문제의 심각성을 크게 느끼고 있습니다”
이보우 상무는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구조조정을 통한 인권비 감축, 증자, IR, 채권회수 조직으로의 전환 등을 들었다.
카드사의 유동성 문제에 대해서도 6·7월까지는 카드사 자구노력이 이행되는 것을 지켜봐야 하며 현재는 시장이 다소 왜곡된 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상무는 “무엇보다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 급선무”라며 “카드사가 사회적 충격에 의해 유동성에 문제가 생겼다면 시장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그는 “정부는 7월까지도 카드사가 유동성 문제를 겪을 경우 카드채를 일시에 상환해야 하는 압박을 줄여주어야 한다”며 “그러나 효과적이지 못할때는 최후의 방법으로 CBO 발행 및 펀드 조성도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정부조치에 대해서는 “정부의 시장개입은 불가피했으나 도입시기나 강도의 문제는 좀 더 신축적이어야 했다”며 “일시에 여러가지를 도입하는 것 보다는 정책개입이 보다 단계적으로 진행돼야 하며 예측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상무는 하반기 카드사 전망에 대해 당초 하반기에 흑자전환 할 것이라는 예상이 카드사 외의 요인으로 인한 자금조달 코스트 상승 문제로 수지 압박의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신용불량자 문제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경기 영향으로 한계신용자가 연체자로 전락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사회적으로 채무 불감증이 팽배해진 것도 아쉬운 점이라고 말한다.
“신용회복지원 제도가 신용불량자를 비호하거나 엄호하는 시스템으로 잘못 비춰지는 것은 유감입니다. 신용불량자 제도도 장기적으로는 연체자와 신용불량자를 구분해 연체자는 별도로 관리해야 합니다. 협회는 연체자를 줄이기 위해 개인들의 채무불감증을 해소하기 위한 금융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연체율 증가는 지금이 최후의 피크인만큼 향후에는 나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상무는 마지막으로 “카드사가 이번 위기를 잘 넘기고 소비심리만 회복된다면 내년에는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며 각 카드사들이 슬기롭게 위기를 극복하기를 당부했다.
<주 요 경 력>
·학력: 서울대 경영학과, 중국 북경대학교 경제학 박사
·경력: 외환은행 북경지점장, 영남대학교 외래교수
주소영 기자 js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