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이 당초 계획과는 달리 재해복구센터 구축과 관련 통신료 등 사용비용 절감에 적극 나서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재해복구센터 구축 현황을 조사하면서 금융권으로부터 통신비용 관련 문제점 및 애로사항은 제외키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통신비용 문제 등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의견을 청취했기 때문에 이번 조사에는 제외시켰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감원이 통신비용 절감을 위한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지난 2001년 재해복구센터 구축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임대료, 통신회선료 등에 대한 비용절감을 위해 금융권과 공동대응한다는 방침이었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한국통신 등 통신회선사업자와 통신회선 사용료 할인 방안을 협의키로 했다.
그러나 금감원은 그동안 통신사업자들과 이러한 사용료 할인방안 등에 대해 지난해 11월 단 한차례 협의를 진행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때도 한국통신은 불참하는 등 하나로통신, 데이콤, GNG 네트웍스만이 참여해 아무런 소득없이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사업자들은 이미 최저가의 통신회선 비용이 책정되고 있어 더 이상의 인하는 절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재해복구사업이 지연되는 가장 큰 이유는 통신료 등에 대한 비용절감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금감원이 임대료 등에 대해서도 지원한다고 했지만 어떤 협의도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통신비용 절감을 위한 다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지만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시형 기자 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