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한 관계자에 따르면 “안정적인 확정금리형 상품 위주의 자산운용 컨설팅은 별 의미가 없다”며 “운용 결과에 대한 사전 사후 예측이 가능한 컨설팅 능력을 키우는 한편 정상적인 수익을 확보 할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하는 마인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 PB, 증권사 FP 등 금융권의 자산컨설턴트들의 능력이 사실보다 과대 포장되거나 종합적인 자산 운용 마인드가 부족해 향후 금융기관 경쟁력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자산 컨설팅을 해주는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주로 안정적인 단기성 자산 위주로 개인들을 유도해 시중자금의 금융권 이탈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금융권에 산재해 있는 모든 자산컨설턴트들이 균형된 감각을 지니고 개인 자산을 관리해줘야 하지만 현실은 미흡한 상황이다.
제일투자증권 모진성 팀장은 “대우사태 이후 은행PB나 증권사 FP등 자산컨설턴트의 역할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이유”라며 “이들의 문제는 단기 자금 운용 제시와 안정 컨셉위주의 컨설팅에 치우치다 보니 고객이 기대하는 것 만큼의 수익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지나친 단기 위주의 자산 컨설팅은 자산컨설턴트들의 지나친 보신주의도 한몫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