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사들이 내년 투신사 전환을 대비하기 위해 합병과 외자유치를 적극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운용사들은 투신사 전환에 대비해 자본금 요건을 맞추기 위한 증자외에도 외국금융기관과의 외자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등 합종연횡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 투신사 전환을 위한 정부의 명확한 전환 지침이 없어 작업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와함께 미래 마이다스 등 선발 1~2개 운용사를 제외하곤 대다수 자산운용사들이 자본잠식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해소할지도 관심거리이다.
한편 금감원은 내년 상반기에 투신사를 포함해 자산운용사들에 대한 전반적인 재무 실태 파악에 나서기로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투신업계 및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내년 투신사 전환을 대비하기 위한 자산운용사들의 움직임이 다양해 지고 있다. 이미 미래에셋은 투신과의 합병을 전제로 자산운용사의 투신사 인가 작업을 우선적으로 진행중이며 SEI, 마이다스 등은 증자를 검토하고 있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한 후발 자산운용사중 다임인베스트먼트는 아직까지는 투신사 전환에 적합한 요건을 맞추기 힘들다는 판단하에 차라리 증자를 하는 것보다 장기적으로 외국계 금융기관과의 합작 방식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장기전략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다임은 외국계 보험사 등과 접촉을 갖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아직까지 투신사 전환과 관련한 구체적 지침이 마련돼 있지 않아 자본잠식 운용사에 대한 인가 기준 등에 관한 지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미래와 마이다스를 제외하곤 대다수 운용사들이 자본잠식 상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투신사 전환 요건인 납입 자본금 100억원을 맞추는 차원에서 인가를 해 주는 건지 아니면 자본잠식분까지 해소한 후 자본금 요건을 맞춰야 하는 지도 불투명하다.
금감원은 현재 운용사의 투신사 전환과 관련해 인가 신청 통보를 했지만 운용사별로 내부 조건과 상황이 제각각이어서 아직 혼선을 빚고 있다. 금감원 자산운용감독국 박광철 팀장은 “투신사 요건 심사와 주요 출자자 요건 심사 등을 처리하는 작업이 간단치 않다”며 “자본잠식분에 대한 해소 방안과 투신사 요건에 대한 구체적 방안 등에 관한 내부 허용 지침이 아직은 미흡해 시일이 좀 더 걸릴 전망”이라고 밝혔다.
특히 내년 금감원이 운용업계에 대한 재무 실태 파악에 나서기로 한 만큼 현재 자본잠식 상태에 있는 자산운용사와 일부 후발투신운용사들의 처리 방향에 대해서도 귀추가 주목된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